무릎 꿇고 살기보다 서서 죽기를! : 파리코뮌의 전개

[영원히 길들여지지 않는 자의 절대자유-아나키즘](15)-3

14:57

3. 파리코뮌의 전개

3월 18일 새벽 기습계획에 따라 티에르는 국민군이 보유하고 있는 대포를 탈취하기 위해 분견대를 파견했다. 작전은 성공한 듯이 보였다. 하지만 탈취한 대포를 끌고 갈 말(馬)을 미처 준비하지 못한 정부군은 손으로 대포를 끌고 있었다. 이 모습을 목격한 어느 국민군 초병의 제보로 상황은 급변한다. 몽마르트언덕에는 군중으로 가득 찼고, 무장한 국민군 병사들도 몰려왔다. 군중에 에워싸인 정부군 여단장 르콩트 장군은 병사들에게 발포 명령을 내렸으나 병사들은 총구를 아래로 내리고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 오히려 병사들은 군중 속으로 흩어져 환호하고, 르콩트 장군은 포로가 된다.

이 사건을 계기로 파리코뮌정부가 실권을 장악하였다. 파리에는 ‘코뮌만세!’의 함성이 거세게 울려 퍼지고 있었다. 마침내 ‘파리코뮌혁명’의 불길이 타올랐다. 코뮌에 참가한 루이즈 미셸(Louise Michel)은 3월 18일 당시의 코뮌을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베르사유의 정부군 병사들이 대포를 장악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된 몽마르트의 시민들은 놀라운 기동력을 발휘하여 언덕에 몰려들었다. 언덕에 오른 사람들은 자신이 죽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지만, 희생될 각오를 하고 있었다. 병사들은 야유를 퍼 붓는 군중에게 발포하는 것을 거부하고 총구를 상관에게 돌렸다. 3월 18일의 일이었다. 코뮌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사람들이 들치고 일어났다. 3월 18일은 왕당파와 외국인 또는 민중이 하나가 되었다. 그 날은 오로지 민중의 날이었다.”

3월 26일 코뮌 평의원 선거가 파리시 전체에서 실시되어 코뮌평의회(le Conseil de la Commune; Conseil général de la Commune)가 구성되었다. 평의원은 구마다 2만 명에 한 사람, 만 명을 넘는 끝수마다 한 사람 꼴로 하여 연기(連記)식 투표로 선출되었다. 20세 이상의 성년 남자 48만 5,566명의 유권자 가운데 22만 5천 명의 시민이 투표에 참가했다. 이 선거로 90명의 당선자 가운데 중복 당선자를 제외한 84명의 평의원이 선출되었다(아키오, 178쪽).

코뮌평의회는 자코뱅파와 공화파가 다수를 차지했고, 사회주의자는 소수였다. 또한 사회주의자 가운데 다수는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자인 블랑키주의자와 아나키스트 프루동주의자들이었다. 코뮌평의회는 파리의 자치를 선언하고, 프랑스를 코뮌, 즉 지역사회의 연합(혹은 연방)으로 재탄생시키려고 했다. 코뮌의 내부에서 선출된 평의원은 소환(리콜)될 수 있었으며, 보수는 근로자의 평균 임금과 동일했다. 또한 평의원들에게는 자신을 선출한 시민에게 자신의 활동과 정책에 대해 보고할 의무가 있고, 이를 실행하지 않는 자는 파면되게 되어 있었다.

3월 28일 파리 시청 앞 광장에서는 파리코뮌의 성립을 선언하는 의식이 행해졌다. 국민군 중앙위원회의 평의원으로 선출된 랑비에가, “민중의 이름으로 코뮌이 선언되었습니다.”라며 역사상 ‘인민의 정부’로 불리는 파리코뮌의 성립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이튿날인 3월 29일 열린 제1회 평의회는 산하에 집행위원회를 비롯하여 재무, 군사, 사법, 보안, 식량 공급, 노동·공업·교환, 외무, 공공사업, 교육(exécutive, militaire, subsistances, finances, justice, sûreté générale, travail, industrie et échanges, services publics et enseignement)의 열 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리하여 파리코뮌은 자치정부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아키오, 178쪽).

하지만 파리 시내의 들뜬 분위기와는 달리 베르사유에 주둔하고 있던 정부군은 파리코뮌을 진압하기 위한 준비를 착실히 진행하고 있었다. 4월 2일 티에르는 파리의 서북부를 전격적으로 공격하였다. 티에르는 파리코뮌이 항복하길 기대했으나 그의 기대와는 달리 코뮌의 저항은 완강하였다. 4월 19일 혁명정부는 <프랑스 민중에게 보내는 파리코뮌 선언>(이하, ‘코뮌선언’)을 발표한다.

코뮌선언은 “우리에게는 싸워서 승리를 거둘 의무가 있다”는 말로 끝난다. 하지만 이 선언의 내용과는 달리 혁명정부가 넘어서야 할 현실의 장벽은 두텁고 높았다. 5월 21일 티에르는 파리에 대한 총공격을 감행했다. 22일 새벽 정부군 7만 명이 파리에 진입했고, 서쪽에서 동쪽으로 파리 시가지를 차례로 점령했다. 코뮌의 진압 과정은 잔혹했다. 정부군은 몽마르트 시가전에서 여성과 어린이들마저 잔인하게 학살했다.

피는 피를, 보복은 보복을 부른다. 잔혹한 것은 정부군만이 아니었다. 코뮌군도 정부군 못지않게 잔혹했다. 그들은 저항에 방해되는 모든 건물을 불태웠다. 24일 파리는 불바다가 되었다. 그들은 후퇴하면서 감옥을 습격해 인질들을 잔인하게 학살했다. 파리 대주교도 이때 살해되었다.

코뮌군이 파리 동쪽까지 후퇴하자 프로이센군이 그들의 도망을 막기 위해 동쪽 외곽 지역에 1만 명의 군인을 주둔시켰다. 도망갈 길이 막혀 버린 코뮌군과 코뮈나르(Les Communards; 코뮌 가담자)들은 최후까지 저항하였다. 27일 가장 처참한 전투가 있었고, 28일 코뮌은 진압되었다. 코뮌의 최후의 희생자들이 숨진 ‘혁명 투사의 벽’(le Mur des fédérés)은 지금까지 남아 그날의 기억을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

정부군과 코뮌군 사이에 가장 격렬한 총격전이 개시된 5월 21일부터 28일까지를 특히 ‘피의 일주일’ 혹은 ’피의 주간‘(la Semaine sanglante)이라 부른다. 이 일주일 동안 2만에서 2만 5천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처형되고 4만 명이 투옥되었다(윤선자, 2013).

▲Barricade on the rue d’Allemagne, Paris, 1871 [사진=wikimedia.org]
▲Barricade on the rue d’Allemagne, Paris, 1871 [사진=wikimedia.org]

5월 28일 사실상 코뮌군이 진압되어 사실상 전투는 끝났다. 그 날 저녁 베르사유 정부군 사령관 마크-마옹은 파리 시민에게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파리의 주민 여러분, 프랑스의 군대는 여러분을 구하러 왔다. 파리는 해방되었다. … 오늘, 싸움은 끝났다. 질서, 노동, 안전이 회복될 것이다.”

그 이튿날인 29일 코뮌의 마지막 보루 벵센요새(le fort de Vincennes)에 남아있던 코뮌군이 항복함으로써 파리코뮌의 혁명정부는 그 역사적 종말을 고하고 말았다. 마코-마옹의 선언대로 파리에는 ‘질서, 노동, 안전’이 회복되고, 피의 보복은 끝났을까? 오히려 그와는 반대로 티에르정부는 ‘법과 정의’라는 이름 아래 파리 도시 전역에서 백색테러를 감행했다. 이제 남은 것은 코뮈나르에 대한 처참한 집단처형과 유형뿐이었다. 파리시민들은 “공화국 만세, 코뮌만세!”를 외치며 총구 앞에서 무참히 쓰러져갔다. 이 당시의 광기에 대해 ≪파리 주르날≫(Paris Journal)의 논설은 이렇게 호소하고 있다.

“죽이는 일은 이제 그만두자. 살인범이나 방화범이라 해도 더 이상 죽여서는 안 된다. 우리는 놈들의 사면을 구걸하는 것이 아니다. 형의 집행을 유예하자고 하는 것이다.”(아키오, 266쪽.)

파리코뮌 72일 동안 살해된 시민은 약 3만 명으로 추정되며, 체포된 자 약 10만 명이다. 그 중 베르사유법정에 끌려나온 시민이 약 4만 명이다. 1875년 1월 1일 베르사유법원은 총 13,450명을 재판한 결과 270명이 사형, 410명이 강제노동, 3,989명이 요새 금고, 3,507명이 유형 등의 선고를 받았다([표 1 참고]).

prcm

하지만 [표 1]의 통계는 베르사유법원의 관할 아래 있지 않던 전쟁평의회(les Conseils de guerre)와 고등법원에 의한 처벌 결과는 제외된 것이다. 이 통계에는, 사형 15명, 강제노동 22명, 요새 금고 28명, 유형 29명, 구금 74명, 징역 13명, 금고 불특정 다수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파리와 지방에서 처벌된 사람들의 수는 적어도 총 13,700명을 넘는다.

파리코뮌의 붕괴는 프랑스의 정치와 사회에 지각변동을 가져왔다. 특히 사회주의운동을 엄금하는(즉, 제1인터내셔널 가입을 금지하는) ‘뒤포르 법’이 제정되어 시민들의 정치 자유는 제한되었다. 그 여파로 국제사회주의자는 물론 아나키즘운동도 직격탄을 맞아 대부분의 아나키스트는 유럽의 다른 국가로 망명하였다.

하지만 파리코뮌이 프랑스 사회에 가져온 긍정적 측면도 적지 않았다. 왕당파나 제정파의 군주제 부활 음모에 큰 타격을 주었고, 프랑스 제3공화제 확립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민주주의적 공화주의자들의 끈질긴 노력으로 1880년 코뮈나르에 대한 전면적 대사면이 실시되었다. 이로써 프랑스의 노동운동과 사회주의운동은 새로운 부활의 전기를 맞게 되었다(아키오, 268-2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