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칼럼] 다원성의 딜레마 /이택광

14:26

학술대회 초청 때문에 인도를 다시 다녀왔다. 2년 만이었다. 인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여전한 것은 여전했다. 뭄바이 공항은 대규모로 면세점을 설치하고 인도의 정체성을 팔고 있었다. 불편했던 국내선 환승 문제도 말끔히 해결해놓았다. 이른바 글로벌 자본주의의 위력을 새삼 실감할 수 있었다.

그런데도 매번 인도에 올 때마다 느끼는 것은 어마어마한 빈부격차다. 고급 주택에서 온갖 가전제품을 갖추고 사는 중산층 가족과 매연에 먼지로 뒤범벅된 거리에서 집도 없이 살아가는 극빈층 가족은 같은 나라에 사는 사람들이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다. 이런 어두운 면도 있지만, 또한 내가 감탄을 연발할 수밖에 없는 일들도 많다. 특히 수천의 신을 모신다는 힌두교가 그렇다.

이번에 방문했던 곳은 첸나이인데, 힌두교, 이슬람교, 기독교가 나란히 공존하고 있었다. 특히 인도의 가톨릭은 독특하게도 12사도 중 한 명이었던 도마가 와서 전도했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데, 첸나이는 그 도마의 무덤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전설이 말해주듯이, 인도에서 가톨릭은 고대 종교 중 하나인 셈이고, 그래서 예수와 힌두교의 신들이 전혀 거부감 없이 나란히 표현된 상징물들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길을 안내해준 학생에게 기독교나 이슬람교는 일신론인데 힌두교를 믿는 이들과 종교 갈등이 발생하지 않는지 물었더니, 원래 힌두교의 정신이 각자의 신을 각자가 모시는 것이라서 일신교도 그중 하나에 불과할 뿐이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듣고 보니 맞는 말이지만, 이 학생의 대답은 다원성의 문제를 적확하게 말해준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힌두교의 태도는 종교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정통과 이단의 분별을 무색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하겠다.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다분히 종교적인 영역에 속하는 카리스마적인 권력이 세속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 세속화는 결국 일인에게 독점되어 있던 권력의 다원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베버가 전제한 세속화라는 것은 다른 그 무엇도 아닌 교환가치에 근거한 시장의 작동을 통해 가능해진다. 시장은 근대 자본주의의 엔진이라는 점에서 분명 세속화를 추동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세속화라는 것은 사실상 시장을 통해 만들어지는 다원성의 세계이다.

비록 종교이지만 인도의 힌두교는 충분히 다원적이고 세속적이다. 누가 어떤 신을 믿든 상관이 없다. 그 이유는 아마도 힌두교가 시장의 논리에 부합하는 종교이기 때문일 것이다. 모든 신은 각자의 차이로 존재하는 자연일 뿐이다. 이런 논리에서 보면, 신은 자연 자체라는 점에서 현세의 처지를 상대화할 수 있는 계기를 준다. 물론 종교는 정치가 아니기에 이런 힌두교가 지배이데올로기의 강화에 복무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긴 어렵다. 지금 처지를 상대화하면 할수록, 기존의 체제를 바꿔야할 까닭도 희미해진다. 어차피 모든 것을 신이 결정해놓았다면, 굳이 인간이 무엇을 바꿀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바로 여기에 다원성의 아이러니가 있다. 극심한 빈부격차도 이런 다원성을 이루는 요소 중 하나로 받아들여진다면 빈곤도 신의 뜻으로 환원되어 버리는 아이러니 말이다.

자유주의는 종종 ‘반대파를 낙후시키자’는 논리를 설파한다. 한국의 경우를 놓고 보면 이런 논리는 보수와 진보를 가리지 않는다. 모두가 첨단에 서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그러나 상대방을 낙후시키겠다는 이런 전략은 적의 소멸을 뜻하지 않는다. 상대방을 무력화해서 다원성의 일부로 포함시키자는 것이다. 이 다원성의 전제조건으로 자유주의는 시장의 합리성을 신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다원성의 세계로 진입하는 순간, 낙후는 더 이상 문제일 수 없다. 상대방이 낙후되었다는 것은 너도나도 다 차이로 나눠진 세계에서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이런 다원성의 딜레마가 정확하게 보여준다. 다원성을 사유해야할 지점에서 우리는 너무도 손쉽게 종교적 믿음으로 빠져들고 있지 않은가. 다원성은 문제의 시작이지 문제의 해결책일 수 없다는 것을 다시 깨달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