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산의 첫 시집 ‘강철의 기억’ 출간

아버지 이은 30년 공장노동자 이야기
첫 시집 서시를 죽은 동무의 마지막 시로

16:42

대구에서 공장노동자로 살며 글쓰기를 쉬지 않았던 이철산이 첫 시집 <강철의 기억>(도서출판 삶창)을 냈다. 전태일문학상(제6회, 1994년)을 받은 지 25년 만이다.

시인이 스스로 평등할 기회조차 박탈한 세상에 던지는 ‘편협한 글쓰기’라고 말한 <강철의 기억>은 ‘낡은 기차’, ‘딱 하루치’, ‘강철은’ 같은 노동 이야기와 ‘비산동’, ‘전지분유’처럼 시인이 자란 동네와 가족 이야기 등 총 54편을 수록했다.

▲이철산 시인 [사진=이철산 제공]

골목 어귀 어디서나 만날 수 있는
강철은 고철의 기억을 가지고 산다
위험하다고 말하는가
수많은 벼림 속에서 비로소 달구어져 빛나는
강철의 기억 속에는 망가지고 부러진 채
무너진 자신조차 숨길 수 없는
고철의 질긴 생명이 숨어 있다 되살아 있다
부끄러움을 녹여내는 아픔 속에서
달구어질수록 뜨거워질수록
고철의 쓰라린 추억을 기억하고 있다
패배 속에서 슬픔의 언저리에서
무너지고 쓰러지고 비로소 지키는 사랑
강철은 아름답다

_ <강철은> 전문

황규관 시인(삶창 대표)은 이철산과 그의 시를 “노동운동을 하면서 감옥살이를 하기도 했지만 시인은 여전히 노동자다. 머리가 하얘진 노동자가 젊을 적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청년 노동자를 맞으면서, 시인은 노동이 굴레처럼 또는 윤회의 고리처럼 이어지고 있음을 간파하면서도 묻는다”며  “’꿈’과 ‘내일’과 ‘새로운 세상’을. ‘어린 노동자’를 보면서 그가 품었던, 아니 지금도 품었던 ‘새로운 세상’을 다시 한 번 물어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청 공장에 납품하는 하청에 하청 공장
부장 뒤따라 한 바퀴
반장 뒤따라 한 바퀴
현장 돌아보며 구석구석 낡은 기계와 첫 대면하다가
내 앞까지 떠밀려와 인사합니다
아이들이 한없이 맑은 눈으로 내 앞에 섰습니다
스무 살 어린 내가 함께 서 있는 것 같아
처음 출근하던 날 작업복 입고 설레고 막막하던 날 생
각나
“그래 높은 사람들이 뭐라카드노?”
“시키는 대로 하라 카던데예.”
웅웅 폭우 같은 에어콤프레셔 소리에
깜빡 아이들 목소리 묻힙니다 어쩌다가 여기까지 떠밀려왔을까

_ <어린 노동자에게> 부분

박영희 시인은 발문 ‘낡은 기차에 대하여’에서 “이철산은 이 이야기를 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거침없는 속도에 밀려 사라진 낡은 기차들에 대해. 속도에 치우친 나머지 타성에 젖어가는 방향성에 대해”라며 “이철산은 낡은 기차에서 내릴 마음이 전혀 없다. 경제성장의 최고 수혜자로 자본주의를 극대화시킨 속도전이야말로 그 방향성을 잃었기 때문”이라고 적었다.

또 “시간과 시간 사이에서, 증언자로 나선 이철산 역시 매정하리만치 냉정하다. 삶의 현장을 시간 단위로 압축한 그는 죽음의 공간으로 가족들을 불러들인다. 한순간(아주 잠깐 사이)에 누군가의 세상이 끝나버렸다는 비보를 전하기 위해서”라고 ‘사이’를 분석했다.

시간과 시간 사이

쇠망치가 손등을 내리칩니다
덜컹거리는 기계 문에 손가락을 찧습니다
초 단위 컨베이어에 목장갑이 말려듭니다
고속 회전 주축에 작업복이 낍니다

시간과 시간 사이

어린아이가 걸어옵니다
젊은 청년이 뛰어옵니다
건장한 중년이 누워 있습니다

한순간에 세상이 끝나버렸습니다

_ 「사이」 전문

대구10월항쟁 역사 복원을 위한 글쓰기모임 ‘10월문학회’ 회원인 시인은 1966년 대구에서 태어나 대구에서 살고 있다. 고등학교 시절 문예부에서 글쓰기를 시작했다. 1994년 전태일문학상을 통해 등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