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치료센터 곧 운영 종료…대구시 재유행 대비는?

대구시, 관내 숙박시설 등 이용해 3,000실 마련 계획

18:39

코로나19 확산으로 부족한 병상을 대체했던 생활치료센터가 이달 말이면 모두 운영을 종료한다. 대구시는 재유행을 대비해서 관내 숙박시설, 체육시설, 기숙사 등을 3,000실을 확보해 유사시에 생활치료센터로 운영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코로나19 발생 초기 대구시가 최초 도입해 무증상 또는 경증 환자를 격리·치료해 온 15곳의 센터가 이달 30일 대구중앙교육연수원과 영덕삼성인력개발원 운영을 끝으로 모두 종료된다”고 밝혔다.

28일 대구시 코로나19 대응 서면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0시 기준 대구시 코로나19 환자 중 68명이 센터에서 치료받고 있다. 지난달 2일부터 운영을 시작해 약 2달 동안 경증 환자 3,025명이 센터에 입소해 치료를 받았다.

지난 2월 18일 31번째 확진자 발생 후 대구에선 순식간에 코로나19 감염자가 치솟아서 병상이 부족해졌다. 음압병상은 일찌감치 무의미해졌다. 정부는 2월 21일에 일반병실에도 확진환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침을 변경했지만 여전히 병상은 부족했다.

병상이 부족해지면서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한 환자들이 증상이 악화돼 숨지는 사례도 속출했다. 2월 27일에는 2월 23일 확진 판정을 받은 74세 남성이 자택 대기 중 상태가 악화돼 병원으로 이송하던 중에 사망했다. (관련 기사=대구 74세 코로나19 확진자, 입원 대기 중 숨져…“병상 확보 시급”(‘20.2.27))

정부는 지난달 1일 부족한 병상을 대신할 센터 운영을 확정해 지침을 변경했고, 2일부터 대구중앙교육연수원을 센터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정부가 센터를 운영하기로 한 1일에만 대구에서 확진환자 7명이 사망했다. 하루 사이 대구에서 8명이 숨진 3월 22일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확진환자가 이날 사망했다.

1일에는 입원할 병실이 없어서 자택에서 대기 중 사망해 경찰이 먼저 파악한 사례도 나왔다. 방역당국은 경찰이 보건소로 사망 사실을 알리기 전까지 파악하지 못했다. 방역당국이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환자가 있었다는 의미다.

1일 사망자 중에는 당일 확진 받고 사망하거나, 사망 후에 확진되는 사례도 각 1명씩 있고, 입원 직후 사망한 사례도 1명 있다. 다른 환자 3명도 입원 후 사망까지 사흘이 안 걸렸다. 모두 준비되지 않은 병상과 의료시스템의 허점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관련기사=코로나19 입원 대기 사망, 경찰이 먼저 인지···대기자 관리 공백 커(‘20.3.2))

▲지난달 2일 대구 첫 번째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로 지정된 대구시 중앙교육연수원 (사진=대구시)

2일부터 운영하기 시작한 센터는 모두 15곳으로 늘어났고, 격리해제가 늘면서 하나, 둘 문을 닫았다. 현재는 대구중앙교육연수원과 영덕삼성인력개발원만 운영 중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이 두 곳도 이달 말이 되면 운영을 중단한다.

대구시는 “센터 운영 종료는 코로나19 상황이 안정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음을 뜻하는 만큼 ‘제2의 우한’을 우려하던 초기 대구 사정을 돌아보면 그 자체로 상당한 의미”라며 “두 달 만에 대구가 코로나19를 조기에 안정화 시키는 밑바탕이 되며 ‘방역 한류’의 일등 공신 중 하나가 됐다”고 평가했다.

유의미한 평가를 받는 만큼 재유행을 대비한 센터 운영 계획도 방역당국은 고민 중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 7일 ‘코로나19 발생 50일에 즈음한 대시민 담화문’을 통해서 “재유행에 대비한 방역역량을 재구축하겠다”며 “대구 지역 내에 2,000개의 병상과 3,000실의 생활치료센터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시 인사혁신과 관계자에 따르면 대구시는 관내 숙박시설이나 체육시설 내 숙소, 기숙사, 연수원 등을 활용해 3,000실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 관계자는 “재유행 온다면 전국적으로 오는 상황일 것이기 때문에 종전처럼 전국에 걸쳐 센터를 확보하는 건 어렵다고 판단한다”며 “지역 내에서 3,000개를 확보하려고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