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오후 대구 수성구 전교조 대구지부 강당에서 뉴스민과 기후정치바람의 공동 주최로 기후정치포럼 ‘TK리부트 : 기후민주주의자들’이 개최됐다. 참석자들은 지역의 기후위기 인식 변화를 바탕으로, 대구·경북의 기후정책 방향과 시민 참여를 논의했다.
이상원 뉴스민 편집국장의 사회로, 오용석 녹색전환연구소 기후시민팀장이 ‘대구·경북 기후위기 인식조사 및 지역 정책 분석 결과’에 대해 발제자로 나섰다. 토론자로는 진상현 경북대 행정학과 교수, 이명은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장, 허승규 안동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이 지역의 기후정책 방향과 시민 참여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포럼은 유튜브로도 생중계 됐다.
오용석 기후시민팀장은 녹색전환연구소·더가능연구소·로컬에너지랩 등이 참여한 기후정치바람이 전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후위기 인식조사에서 대구·경북 시민들 시민 인식을 주요하게 소개했다. [관련기사=산불이 TK 시민들의 기후위기 인식을 높였을까?(25′.05.08)]
오 팀장은 ‘기후재난을 경험할수록 기후문제의 중요성 인식도 높아진다’고 짚었다. 지난 1년 기후재난 경험을 물었더니 전국은 64.7%만 폭염을 꼽았는데 대구는 75.8%로 나타났다. 산불은 전국 평균 16.9%였지만, 대구 37.1%, 경북 41.7%로 월등히 높았다. 가뭄 경험도 전국 19.6%인데 반해 대구 26.8%, 경북 34.1%로 마찬가지로 높았다.

조사는 기후시민을 기후변화가 개인과 공동체 모두의 책임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을 실천하는 시민으로 정의했다. 대구는 기후시민 비율이 54.4%, 경북 55.8%로 전국 평균 50.9% 보다 높았다. 조사는 지난 3월 22일부터 30일까지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조사에 기후인식 증가에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주요 지역현안에 대해 질의한 결과도 공개했다. 대구시민에게 ‘팔현습지 내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 설치’에 대해 묻자, 반대 54.4%로 찬성 34.7%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낙동강유역환경청, 팔현습지 보도교 17억 더 들여 공법 변경···생태 파괴 우려는 여전(‘25.03.13)]
‘낙동강 녹조’ 문제 심각성에 대해서도 대구시민 77.6%가 심각하다고 여겼고, 심각하지 않다는 의견은 9.5%에 불과했다. [관련기사=대구환경청, 낙동강 녹조 대책 발표···“더운 날씨 만큼 더 심각한 녹조 예상”(‘25.05.09)]
파크골프장 건설도 반대 65.9%, 찬성 24.9%로 반대 의견이 우세했다. 에너지 자체 충당 방안에 대해서도 분산형 전원확대가 모든 연령층에서 1위를 차지했고, 평균 52.3%로 가장 높은 응답을 받았다. 2순위 답변으로는 30대만 대규모 송전설비 추가 설치가 언급됐고, 나머지 연령층에선 대형 발전소 유치라고 답했다.
경북 주민들에게 ‘산업폐기물 처리 사업’에 대해 물었더니, 응답자 62%가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 특히 여성(69.9%)이 남성(55.3%) 보다 부정 의견이 높았다. 산업폐기물 처리 사업 영향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응답도 응답자 83.5%에 달했다. [관련기사=경북에 쏠리는 전국 폐기물···주민들, ‘조례 제정’으로 해법 모색(‘24.11.06)]
태양광 발전 설비 설치 의향에 대해서는 대구 54.5%, 경북 53.4%가 ‘있다’고 답했다. 다만 실제 재생에너지 설비 설치경험은 대구는 10.5%에 불과했고, 동구·군위군 지역에서 설치 경험이 13.7%로 가장 높았다. 경북은 13.3%로 나타났는데, 영주·의성·청송·영덕·울진·영양·봉화지역에서 21.7%로 경북 전체 평균 보다 높았다.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의견은 전국(58.8%) 보다 대구(51.5%)·경북(53.1%)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원자력발전 확대 의견이 전국(24.8%)보다 대구(31.3%)·경북(31.4%)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어진 토론 순서에서 토론자들은 기후시민들이 기후의제를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현실화 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이명은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장은 대구 지역 현안 가운데 소형모듈원자로(SMR) 설치에 대해 찬성 의견이 더 우세한 사실을 짚으며, “SMR의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지역 내에서 아직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음을 시사한다”고 짚었다. [관련기사=[기후정치포럼]”기후운동, 시민의 언어로 현실에 닿아야“(‘25.5.22)]
그러면서 “절반이 기후시민이지만 시민의 인식과 체감의 간극은 정치적 참여와 지역사회 변화 없이는 좁힐 수 없다. 기후운동은 지금 시민의 언어로 현실에 닿아야 하고, 지역 현안을 매개로 사회전환을 이야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승규 안동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은 “이번 조사는 기후정치를 활성화하는데 최소한의 근거라고 생각한다. 현재 대한민국 기후정치를 내세우는 정당의 정치세력화는 사실 처참한 수준”이라며 “초당적인 기후정치를 이끌어내는 공론장을 지역의 언론과 시민사회 정당들이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기후정치포럼] “기후위기 대응위한 정당·언론·시민사회의 연합 필요” (‘25.5.22)]
진상현 경북대 행정학과 교수는 “기후변화에 동의를 하면서도 규제는 싫어하고, 정부가 인센티브를 주길 바라는 부류가 있다. 그런분들과 어떻게 합의해서 나갈 것인가도 기후문제에 있어 숙제인 것 같다”면서 “불편함을 감수하고 행동하는 기후유권자와 의지는 있지만 행동력은 부족한 사람들이 얼마나 있는지 맞춤형 전략이 있으면 ‘기후바람’을 일으키는데 더 도움이 되지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관련기사=[기후정치포럼] “불편함 감수할 기후유권자, 얼마나 될까?”(‘25.5.22)]
오용석 기후시민팀장은 “의견을 주신 기후시민들에 관한 부분을 다음 조사에서 더 반영을 하면 좋겠다”면서 “말씀하신 것처럼 인센티브 쪽을 선호하는 시민들이 좀 더 있는 것 같다. 예를 들면 자동차를 이용하는 시민보다 자전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교통포인트제나 인센티브를 주는 부분에 대해 찬성 비율이 높았다”고 덧붙였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