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쓰레기 매립 금지’, 대구 소각장 증설 필요한데 논의는 아직

대구시 소각 쓰레기 모이는 성서자원순환시설
현재 2,3호기만 운영 ···1호기는 개체 사업 진행 중
논의 필요성 제기되지만, 대구시는 "논의 중" 조심스런 입장

15:19
Voiced by Amazon Polly

소각로 굴뚝에선 소음 대신 희고, 연회색빛 연기만 계속해서 모락모락 피어올랐다. 시설 진입을 위해 대기하는 트럭도 소음이 크지 않았다. 달성군, 북구, 중구 등으로 적힌 쓰레기 수거 트럭 대여섯대가 진입을 기다렸다. 오히려 간간이 도로를 지나는 차량 소음이 더 크게 들렸다.

23일 오전 6시경, 군위군을 제외한 대구 전역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쓰레기)을 처리하는 달서구 장동 ‘성서 자원회수시설(성서소각장)’을 찾았다. 쓰레기 소각장이라는 사실을 몰랐다면 성서공단의 어느 공장 정도로 무심코 보아 넘길 건물이다.

생활폐기물 수거 운반 트럭의 정체도 심하지 않아 20분 정도를 대기하면 소각장에 들어섰다. 소각장 관계자에 따르면, 평일 오전 3시부터 오후 3시(토요일은 오전 3시~10시, 일요일은 미운영)까지 소각로가 운영된다. 새벽 이른 시간대에 쓰레기 수거가 이뤄지다 보니 소각시설 역시 이 시간대에 반입이 주로 이뤄진다.

▲ 23일 오전 6시 쯤 찾은 달서구 장동 ‘성서 자원회수시설(성서소각장)’ 모습. 소각로 굴뚝에선 하얀 연기가 계속 피어오르고 있었고, 시설 진입을 위해 대기하는 트럭들 대여섯대가 줄지어 있다.

대구시 소각 쓰레기 모이는 성서자원순환시설
현재 2, 3호기만 운영···1호기는 개체 사업 중

현재 성서소각장 소각로는 노후화로 가동중지된 1호기를 제외하고 2·3호기가 운영 중이다. 1호기는 기존 시설 철거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자리에 2026년 5월까지 신규 소각시설이 완공될 예정이다. 1호기는 1993년 준공됐고, 2016년 가동이 중지됐다. 2·3호기도 개체사업 필요성이 제기된다. 2·3호기는 1998년 준공돼 1호기와 5년 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대구시는 2016년 한 차례 기술진단을 했고, 향후 기술진단도 추가로 예정돼 있다.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2030년부턴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수도권은 2026년)됨에 따라 소각장 중요성을 더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기준 대구시 일반생활폐기물 중 종량제 폐기물이 매일 1,145.9톤(t) 발생했다. 57.4%에 해당하는 657.4t이 매립됐고, SRF(폐기물에너지화) 22.1%(253.5t), 소각 20.5%(235t)순으로 처리된다.

매립되는 쓰레기가 훨씬 많은 만큼 2030년 이전에 처리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논의는 미진하다. 소각장은 주거시설에서 떨어진 성서공단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 때문에 주민 관심에서 멀다. 소각장 인근에서 만난 주민 조차 “여기 소각장이 있는 줄 몰랐다”거나, “소각장이 여기 있는 줄은 알았지만, 특별히 아는 게 없다”고 말했다.

소각장 인근에서 일하는 김은경(37) 씨는 “여기에 사는 사람은 없고 일 때문에 오가는 사람들이다 보니 소각장이 있는 줄 모르거나, 알아도 대부분 큰 관심이 없다”며 “저는 관심이 많은데, 소각장 앞에 대기오염 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안내전광판을 눈여겨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씨는 “지금 쓰고 있는 마스크도 특수 마스크다. 오염 물질을 감소 시키는 기능이 있다더라. 하루에 2개씩 쓰기도 한다. 건강 문제가 걱정돼 6개월에 한 번씩 혈액 검사도 하고 있다”며 “저기서(소각장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정확한지 모르겠다. 지금보다 더 자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 공개나 조사가 되면 좋겠다. 만약 지금보다 소각장이 더 커지면 진짜 여길 떠나야 하나 싶다”고 토로했다.

▲ 성서자원순환시설(성서소각장) 앞 전광판에서 배출농도와 기준 등이 안내되고 있다. 성서소각장 진입 중인 생활폐기물 수집 운반 트럭도 보인다.

쓰레기 직매립 금지 기한 다가오는데···
“공론화 통해 올바른 방향 모색 돼야”
대구시, “내부적으로 방향 잡아가는 단계”

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는 하루 빨리 대구시가 공론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한다. 차일피일 논의를 미루다 제대로된 여론 수렴 조차 없이 졸속으로 결정될 것도 우려하고 있다. 이영애 대구시의원(국민의힘, 달서구1)은 “2·3호기가 고장이 나거나 문제가 생길 수도 있지 않나. 대구시가 미리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종길 달서구의원(더불어민주당, 이곡·신당동)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당장 몇 년 남지 않았는데, 대구시는 논의가 전혀 없다. 성서소각장 1호기와 마찬가지로, 2·3호기 자리에 새로 더 큰 규모로 지으려고 할 것 같다”며 “나중에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여론 수렴이나 절차도 제대로 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김중진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는 “쓰레기 발생량이 계속 늘어나고 있고, 쓰레기 처리도 탄소중립이나 ESG경영 등으로 대안 마련의 필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 토론이나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정책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대구시가 공론화 과정에 신경써야 한다”고 짚었다.

김민조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쓰레기 소각장이 님비 시설이라 시에서도 이런 논의를 섣불리 꺼내길 조심스러워 하는 것 같다”면서 “덴마크 코펜하겐의 소각장 ‘아마게르 바케’ 사례를 보면 주민생활 공간의 일부처럼 커뮤니티 시설도 있고, 정보 공개와 관리도 철저하게 하더라. 이런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성서자원순환시설(성서소각장)에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대구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관련 언급이 조심스럽다. 직매립이 금지되면 재활용과 소각으로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 아직 구체적 내용이 결정된 것은 없고 내부적으로 방향을 잡아가는 단계로 보시면 될 것 같다”며 “2·3호기는 향후에 안전진단을 다시 하고 결정을 내릴 예정”이라고 했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