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시민의 정책 가치관, 더 보수적이지 않았다

경향신문-한국리서치 조사 결과, ‘지역 변수’ 미미

15:27
Voiced by Amazon Polly

“보수의 심장”, “국민의힘의 텃밭”. 대구/경북 지역을 정치적으로 표현할 때 자주 쓰이는 말로 선거 때마다 지역에서 나타나는 국민의힘 지지율을 근거로 한다. 그렇다면 대구/경북 시민들은 정책 가치관에서도 다른 지역보다 크게 보수적일까? 대구/경북의 높은 국민의힘 지지율은 시민들의 가치관이 드러난 결과일까? 이를 엿볼 수 있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향신문>이 2024년 신년기획 ‘중도, 그들은 누구인가’를 준비하면서 한국리서치에 이뢰해 지난해 12월 12일~15일, 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1533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총 173개 질문으로 구성된 이번 조사 결과는 신년이 밝은 이후 순차적으로 공개되었는데 최근 정책적 가치관을 알 수 있는 조사 결과도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게시되었다. 이 조사는 웹조사(url 발송)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응답률은 4.4%,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어떤 지역이든 타 지역과 정책적 가치관 크게 다르지 않아
대구/경북, 비정규직 문제든 동성커플 이슈든 다른 지역과 비슷 

이번 조사에서는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성장보다 분배가 먼저다”를 필두로, 국가의 기업 개입, 공공기관 민영화, 비정규직 문제, 사회적 약자 지원 등 사회경제적 문제와 법 질서, 표현의 자유, 동성커플, 기후위기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해 응답자들의 동의/비동의를 물었다. 북한과의 관계, 한미 동맹, 무기 체계 등 외교/안보 이슈도 주제에 포함되었다. 각 지역별 가중값 적용 사례수(명)는 서울 288, 인천/경기 491, 대전/세종/충청 162, 광주/전라 148, 대구/경북 149, 부산/울산/경남 230, 강원/제주 65 등이었다.

조사 결과 대구/경북 응답자들의 정책적 가치관은 타 지역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 변수 자체가 강하게 작동하지 않는 모습이었다. 한 가지 사안(‘미국 최우선 외교 정책’)을 제외하면, 전국적으로 동의(비동의)가 높은 주제에 대해서는 여러 지역에서 다같이 동의(비동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령 “비정규직을 줄이고 정규직 또는 보다 안정적인 고용형태를 늘려야 한다”는 명제는 전국적으로 82%의 동의율을 얻어 사회경제적 이슈 중 가장 압도적인 동의를 받았는데, 대구/경북의 동의율은 81%였다. 동의/비동의가 첨예하게 나뉜 명제는 ”동성커플은 다른 가족형태와 동등한 권리를 누려야 한다“로 전국적으로 동의 47% 대 비동의 48%로 나타났는데, 대구경북은 43% 대 50%로 광주/전라의 44% 대 51%와 거의 같았다.

다음은 각 항목별로 전국 응답자들의 응답과 대구/경북 지역, 평소 대구/경북과 대척점에 있다고 여겨져온 광주/전라 지역, 그리고 그 밖의 지역 중 한 군데를 견줘본 결과다.

1.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성장보다 분배가 먼저다
전체: 동의 47% 대 비동의 50%
대구/경북: 49% 대 47%
광주/전라: 49% 대 49%
서울: 44% 대 53%

2. 국가는 기업이 하는 일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
전체: 동의 62% 대 비동의 36%
대구/경북: 65% 대 33%
광주/전라: 64% 대 34%
인천/경기: 63% 대 34%

3. 공기업과 공공기관을 민영화해야 한다
전체: 동의 39% 대 비동의 57%
대구/경북: 40% 대 54%
광주/전라: 38% 대 61%
대전/세종/충청: 42% 대 55%

4. 지금보다 더 강력한 법과 질서로 국가를 통치해야 한다
전체: 동의 58% 대 비동의 30%
대구/경북: 62% 대 34%
광주/전라: 51% 대 47%
대전/세종/충청: 61% 대 37%

5. 소수자나 약자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
전체: 동의 81% 대 비동의 16%
대구/경북: 78% 대 17%
광주/전라: 80% 대 19%
인천/경기: 70% 대 17%

6. 사회질서를 위해서는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
전체: 동의 42% 대 비동의 55%
대구/경북: 41% 대 55%
광주/전라: 35% 대 64%
부산/울산/경남: 49% 대 48%

7. 비정규직을 줄이고 정규직 또는 보다 안정적인 고용형태를 늘려야 한다.
전체: 동의 82% 대 비동의 15%
대구/경북: 81% 대 16%
광주/전라: 83% 대 13%
대전/세종/충청: 79% 대 17%

8. 정부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는 혜택을 줄여야 한다
전체: 동의 32% 대 비동의 64%
대구/경북: 33% 대 64%
광주/전라: 33% 대 66%
인천/경기: 34% 대 62%

9. 고소득자와 저소득자간 소득 차이를 줄이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
전체: 동의 72% 대 비동의 24%
대구/경북: 66% 대 29%
광주/전라: 75% 대 22%
부산/울산/경남: 66% 대 30%

10. 동성커플은 다른 가족형태와 동등한 권리를 누려야 한다
전체: 동의 47% 대 비동의 48%
대구/경북: 43% 대 50%
광주/전라: 44% 대 51%
대전/세종/충청: 45% 대 49%

11.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지금보다 강한 규제를 시행해야 한다
전체: 동의 81% 대 비동의 15%
대구/경북: 82% 대 10%
광주/전라: 78% 대 17%
대전/세종/충청: 87% 대 12%

12. 우리나라는 해외원조나 인도적 지원 등 국제사회에서 더 많은 역할을 해야 한다
전체: 동의 72% 대 비동의 24%
대구/경북: 73% 대 22%
광주/전라: 62% 대 34%
대전/세종/충청 76% 대 21%

대북/외교/안보에서 두드러진 것은 TK보다 호남
김대중 전 대통령 영향과 경부축 산업화 불만 반영?

한편 대북/외교/안보 이슈에서는 사회/경제/문화 이슈에 비해서 지역간 격차가 조금은 더 크게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전국적인 의견 분포와 비교적 차이가 크게 나타난 지역은 대구/경북이 아니라 광주/전라였다. 광주/전라는 타 지역에 비해 대북 협력적 태도가 강하게 나타났다. 햇볕정책을 펴온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향이 강한 것을 그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아볼 수 있다.

미국 우선 최우선 정책에 대해 동의보다 비동의가 높은 유일한 지역도 광주/전라였다. 한미동맹을 따라 발달한 경부선축 산업화가 호남을 소외시킨 것에 대한 반작용이자 균형외교가 서해안 또는 서남권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작용한 결과일 수 있다.

대구/경북은 광주/전라를 제외한 다른 지역과 큰 차이가 없었다. 다음은 대북/외교/안보에서 나타난 지역별 응답률을 비교한 것이다.

<대북/외교/안보>
1. 북한은 적대 대상이다
전체: 동의 62% 대 비동의 35%
대구/경북: 61% 대 34%
광주/전라: 55% 대 44%
인천/경기: 64% 대 33%

2. 북한은 협력 대상이다
전체: 동의 52% 대 비동의 45%
대구/경북: 50% 대 44%
광주/전라: 61% 대 37%
서울: 51% 대 46%

3. 우리나라 외교정책은 미국을 최우선으로 두어야 한다
전체: 동의 54% 대 비동의 42%
대구/경북: 동의 57% 대 비동의 39%
광주/전라: 동의 38% 대 비동의 60%
인천/경기: 동의 56% 대 비동의 40%

4. 북한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한반도 평화를 위해 가장 중요하다
전체: 동의 68% 대 비동의 29%
대구/경북: 64% 대 33%
광주/전라: 81% 대 17%
대전/세종/충청: 66% 대 27%

5. 우리나라의 안보를 위해서 더 강력한 무기체계를 갖춰야 한다
전체: 동의 80% 대 비동의 17%
대구/경북: 81% 대 14%
광주/전라: 71% 대 28%
인천/경기: 81% 대 15%

종합하면 ‘보수’의 내용물로 꼽히는 시장주의, 국가주의, 냉전주의 등의 경향이 대구/경북에서 더 두드러지지 않았다. 여기서 제기되는 질문은 결국 이것이다. 대구/경북 주민들의 정책적 가치관이 타 지역과 별 차이가 없다면, 왜 국회의원 보유 정당 중 가장 보수적인 정당인 국민의힘 지지율이 대구/경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는가?

민주당, 정의당 등 차별성 확보 왜 실패했는지 돌아봐야
국민의힘, 지역 지지층 일부의 ‘정책적 진보’ 대변하는가

첫째로는 ‘경로 의존성’을 꼽을 수 있다. 지역에서 오랫동안 뿌리를 내렸던 정당이 여러 성향의 주민들을 흡수했고, 이런 현실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비주류 정당들의 지역 조직력 부족과 함께 동전의 앞뒷면을 이룬다.

둘째, 비주류 정당들의 차별성 확보에 문제가 있었을 수 있다. 국민의힘과 무엇이 다른지, 국민의힘이 집권할 때와 얼마나 다른지 뚜렷하게 설명되지 않는다면, 주민 입장에서는 굳이 국민의힘을 제치고 투표해야 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지 못한다. 어쩌면 민주당이나 정의당의 적은 국민의힘이 아니라 ‘그놈이 그놈’이라는 국민 인식일 수 있다.

하지만 지역 내 비주류 정당들보다 더 뼈아프게 자신을 돌아봐야 할 것은 국민의힘이다. 강성 보수층뿐만 아니라 정책적 진보층에도 다소 뻗쳐 있는 지역 지지층도 헤아리고 있는가? 국민의힘 지지층의 상당수도 비정규직의 처우 개선이나 정규직화를 지지하지만 이런 여론이 정당 노선에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가? 이와 같은 성찰 없이 ‘표 놓고 표 먹기’에만 열중한다면 전국적인 기본 지지율도 하락하기 마련이고, 대구/경북에서 선거 득표율을 유지하더라도 그 지지에 실린 힘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김수민 객원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