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선우]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흥행 이유는 타이밍

14:46

생명을 빼앗는 일에 깊은 가책을 느끼는 걸까, 평범하게 살지 못하는 삶이 괴로운 걸까. 영화는 누군가를 죽여야만 하는 숙명을 가진 이들의 삶을 무미건조하고 황량하게 그린다. 주로 투영되는 사조는 염세주의(pessimism)다. 세상이나 인생에 실망해 이를 싫어하는 생각을 뜻하며, 비관주의로도 번역된다.

<맨 온 파이어(2004년)>의 전 CIA 전문 암살 요원 존 크리시(덴젤 워싱턴)도, <아저씨(2010년)>의 전직 특수부대 요원 차태식(원빈)도 무력감에 젖은 채 살아간다. <타락천사(1995년)>의 기억상실증에 걸린 킬러 황지민(여명)도, <익스트랙션>의 전직 특수부대 출신 용병 타일러 레이크(크리스 헴스워스)도, <존 윅 시리즈>의 은퇴한 킬러 존 윅(키아누 리브스)도 삶의 의지가 시들하다.

이런 측면에서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의 주제와 소재는 정형화되어 있다. 주인공 인남(황정민)은 일본에서 살인 청부업자로 살고 있다. 한때 국가정보원 요원으로 활동했지만, 조국에 버림받아 연인 영주(최희서)와도 이별하고 일본으로 떠났다. 타지에서 누군가를 만나지도 못하고 살인의뢰만 수행하며 살아왔다. 8년 뒤 인남은 청부 살인을 그만두고 중미 파나마 공화국의 바닷가로 떠나려고 한다. 삶에 대한 염증에 절어 있는 그에게 최후의 안식처다.

그런 인남에게 들어온 마지막 의뢰는 야쿠자 보스를 죽이는 것이다. “그의 손에 죽은 여성이 한둘이 아니고···” 인간사에 지친 인남은 목표물이 죽어 마땅한 자라는 말을 듣고 움직인다. 야쿠자 보스의 집에 숨어들어 목표물과 부하들을 단숨에 제거한다. 한적한 곳에서 여생을 보내려는 인남을 돌려세운 건 그의 옛 연인 영주의 사망 소식이다. 영주의 시신을 보며 애써 담담하던 그는 존재를 알지 못했던 9살 딸의 실종 소식을 접하고 태국 방콕으로 떠난다.

비슷한 시각, 마지막 의뢰를 수행한 인남에게 형을 잃은 ‘인간 백정’ 레이(이정재) 역시 그를 쫓아 방콕으로 향한다. 방콕에 도착한 인남은 딸이 장기밀매조직에 끌려갔다는 것을 알게 되어 추격하고, 레이는 복수를 위해 인남을 쫓는다. 또 태국의 폭력조직은 자신의 구역을 난장판으로 만드는 인남과 레이를 추격하면서 쫓고 쫓기는 추격전이 펼쳐진다.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추격전이 핵심이다. ‘납치된 딸을 구하려는 아버지’와 ‘형을 살해한 자를 죽이려는 동생’의 이중 추격 형국이다. 이 때문에 <맨 온 파이어>와 <아저씨>와 <익스트랙션>, <테이큰(2008년)>을 뒤섞어 놓은 것처럼 느껴진다. 영화가 추격에 초점을 맞춘 덕분에 속도감은 뛰어나다. 템포가 빨라 답답한 구석은 없다. 복잡한 액션 동작에 타격감을 높인 스톱모션 촬영기법은 긴장감을 한층 더 불어넣는다. 스톱모션은 배우들의 움직임을 정지된 상태에서 수차례 찍은 뒤, 이미지를 연속으로 이어붙이는 기법이다. 덕분에 주먹이 직접 상대의 얼굴에 닿아 타격감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단점은 선명하다. 주제나 소재가 오래되고 단순한 플롯을 따르는 데다, 추격전에 몰두해 맥락과 개연성의 빈틈 생겼다. 인남의 부성애는 차치하고, 레이의 복수가 납득되지 않는다. 영화에서 레이의 정체는 잔혹한 인간 백정이라는 것만 묘사되어 있다. 그 외 어떤 정보도 없다. 배우 이정재도 언론 인터뷰에서 “연기만으로 레이는 이런 사람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하겠구나 생각했다”며 “관객들에게 ‘그럴싸하다’는 믿음을 주기 위해서 이미지적으로 세세한 면에 신경을 썼다”고 말했다.

갑자기 등장한 레이의 행보가 의문스럽다. 그는 형의 복수를 하러 이곳저곳을 들쑤시다가 목숨을 걸고 인남을 쫓는다. 그런데 레이는 목숨을 잃은 형과 한동안 연을 끊고 지내 아무도 둘이 형제인지조차 몰랐다. 레이는 왜 목숨을 걸고 인남을 쫓는 건가. 심지어 태국 범죄조직 보스가 레이에게 “그를 왜 그렇게 죽이려고 하는 거야?”라고 묻자 레이는 “이유는 중요한 게 아니야. 나도 기억도 안 나네”라고 답한다. 왜 이렇게 된 건지 묻는데 이유를 말해주지 않고 무심하게 팔짱만 끼는 셈이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2008년)>의 사이코패스 살인마 안톤 시거(하비에르 바르뎀)도 레이처럼 전사(前史)가 거의 없다. 하지만 영화 내내 안톤 시거가 어떤 인물인지 그려진다. 그리고 안톤 시거가 르웰린 모스(조슈 브롤린)를 쫓는 이유도 명확하다. 차라리 일본 애니메이션 <카우보이 비밥>의 스파이크와 비셔스의 관계처럼 인남과 레이 사이의 서사를 그렸다면 개연성이 뚜렷했을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주인공 인남의 사연도 빈약하다는 점이다. 영화는 인남의 현재와 과거, 영주가 아이를 낳고 방콕에 가게 된 사연을 몇몇 장면이나 대사 몇 줄로 설명한다. 인남 주변인의 길지 않는 대사 몇 마디로, 인남이 가구 하나 없는 방에 웅크리고 누운 장면으로 관객이 그의 고독을 공감하기란 쉽지 않다.게다가 메시지도 흔하고 뻔하다. 아이를 구출한다는 서사 자체가 새롭지 않은데, 나락에서 허우적대는 주인공이 누군가를 구하면서 본인도 구원받는 뼈대는 낡고 낡은 교훈을 답습한다.

장르적 쾌감을 두른 영화의 외피 아래 선과 악, 구원 같은 윤리적 개념에 질문을 던지는 건 이제는 너무 흔하다. 그런데 결말은 인간의 원죄와 구원에 관한 통찰을 담고 있을 듯 기대감을 건드리는 제목과도 거리가 먼 가족애다. 다만 인남의 조력자 유이(박정민)는 영화의 보너스다. 트랜스젠더를 연기하는 배우 박정민은 등장부터 파격적인 모습을 선보이고 영화 내내 숨통 트이는 웃음을 유발한다.

추격 액션이 주효했을까.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맥락과 개연성 부족이라는 비판에도, 쫓고 쫓기는 추격전에만 집중해 액션 쾌감을 극대화했다는 평이 높다. 쉴 새 없이 휘몰아치는 액션과 강렬한 색감으로 칠한 영상미가 호평의 요인이다. <반도>의 지나친 신파나 <강철비2>의 억지스러운 전개가 없다는 것만으로도 만족하는 관객도 있다.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는 개봉 닷새 만에 누적 관람객 200만 명을 넘었다.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의 흥행은 타이밍이 절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