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는 이른 폭염으로 녹조가 더 심각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대구지방환경청(청장 김진식)은 올해 낙동강 녹조 대책을 발표했다. 환경단체는 보 개방 등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했지만, 보 개방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8일 대구환경청은 ‘2025년 녹조 대응 및 관리대책’을 내놨다. 대구환경청은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올해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여름철에 무더운 날씨가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대구·경북 지역민에 안전하고 깨끗한 먹는 물 공급을 위해 관련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녹조는 영양염류(오염원으로 주로 인과 질소), 높은 수온(25도 이상), 강물의 정체 이 세 가지 요건을 통해 번성한다. 기온이 높은 여름철 더 심각해진다. 지난해 8월 경북지역 내 폭염일수가 최장 27일 지속되는 등 기상여건 악화로 ‘강정·고령’지점에서 유해남조류 세포수가 최대 144,375cells/mL까지 발생하기도 했다. 올들어 현재(5월 1주)까지는 조류경보제 운영지점(강정·고령, 영천댐 등, 6개지점) 모두 100cells/mL이하로 평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대구환경청은 누리집과 물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녹조 발생 상황에 대해 주 1회 모니터링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대구환경청은 오염원 중점 관리와 녹조 대응체계, 신속한 정보 제공으로 나눠 대책을 추진한다. 먼저 오염원인 인·질소와 같은 오염원 유입 저감을 위해 ▲하·폐수처리시설, 가축분뇨 배출시설, 대규모 개발사업장 집중점검 ▲제방, 도로 등 야적퇴비 수거 또는 덮개설치 조치, 안내문 설치 및 책자 배포, 현장교육 등 홍보 강화 ▲녹조 중점관리지역 관리 등이 이뤄진다.
녹조 대응체계 일환으로는 ▲조류대응 상황실 운영(상시 모니터링 및 축사·농경지 밀집지역 등 주 2회 드론 활용 감시, 관내 19개소 정수장에 녹조대응 준비실태 점검, 기술지원) ▲녹조제거설비 운영(녹조제거선, 조류차단막, 수면포기기 등) ▲필요시 댐·보 연계 방류 ▲협업체계 구축(조류대책위원회, 댐 유역 수질관리협의체 운영) 등이 강화된다. 조류대책위원회에는 대구환경청과 조류 및 수질전문가, 물환경센터, 대구시와 경상북도, 수자원공사가 참여한다.
특히 지난해 녹조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한 안동댐과 영주댐 유역은 대구환경청, 수자원공사,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댐 주변 하천부지 내 무단경작지 해소, 축분 내 인‧질소 유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부숙제 지원, 축분 고체연료화 시범사업 및 영주 ‘무섬마을’에 대한 조류 모니터링 시행으로 조류경보제 친수구간에 준해 관리한다.
환경부 대구환경청 수질관리과 관계자는 “보 개방 문제는 복합적인 이해관계가 얽혀있어서 녹조 상황만 봐서 바로 결정을 내리기 힘든 부분이 있다”면서 “저희가 단독으로 결정할 사항도 아니다. 보 자체는 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낙동강 중상류는 저희가, 하류는 낙동강유역환경청에서 관할한다”고 설명했다.
환경단체는 녹조 대응이 소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보 개방과 같은 근본적인 대책을 강조했다. 환경단체 차원의 자체 녹조 조사 활동도 내달부터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환경청에서 내놓은 녹조)대책은 새로울 것이 없는 내용”이라며 “보 때문에 (물이 흐르지 못하고) 막혀 있어서 생기는 문제인데, 이 문제에 대한 대책이 부족하다. 축사나 조류제거선, 조류차단막, 수면포기기 같은 것만으로는 녹조 해소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매년 녹조가 더 심각해져왔고, 지난해 우리가 강정고령보에서 조사한 녹조 독소가 1만 5,000ppb로 역대 가장 높은 수치가 확인되기도 했다”며 “6월부터 녹조 조사 활동을 계획하고 있고, 피해 대책과 원인 규명 조사 활동을 위해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