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주]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지난 1,000일 가량 시장으로 재임하면서 100+1 대구 혁신을 ‘완성’했다고 주장하지만, 반대로 그가 말하는 성과라는 게 과장되었고, 오히려 재임 기간 동안 시정이 사유화되고, 민주주의는 후퇴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부시장이 권한대행을 하는 1년여 동안 다양한 영역에서 이 문제는 계속 지적될 것으로 보인다. <뉴스민>은 후임 시장이 당선되어 새로운 대구 시정이 열리기 전까지, 홍준표 재임 1,000일이 대구에 무엇을 남겼는지 기록해두기로 했다.
추신, 제보도 받습니다. 제보는 newsmin@newsmin.co.kr으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측근인 정장수 전 경제부시장과 이종헌 전 정책특보가 면직 이후에도 두 달 가량 더 대구시 관사를 사용한 것이 확인되면서,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대구경실련)이 비판하고 나섰다. 3일 대구경실련은 성명을 내고 ‘대구광역시 공유재산관리 조례’에 근거해 “정장수 전 부시장, 이종헌 전 특보와 대구시 공유재산 담당 공무원들은 모두 조례를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구경실련은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사직이 우발적 사고에 의한 것이거나, 홍준표 전 시장체제의 민선 8기 대구시정이 정 전 부시장 등에게 한 것만큼 대구시민을 배려하는 행정을 했다면 이들의 면직 후 관사 사용과 이에 대한 대구시의 허용은 용인할 수도 있는 사안일 수도 있다”고 전제했다.
그러나 “홍 전 시장이 12.3 내란사태 이후 조기대선 출마, 대구시장직 사퇴 의사를 공공연하게 밝혔던 점, 홍 시장 체제의 대구시정이 대구시민에게 지나칠 정도로 가혹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이는 절대로 용납할 수 없는 점이다. 도매시장 종사자, 부산물 상가 등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단 하루의 여유도 주지 않고 대구축산물도매시장을 폐쇄한 것이 그 대표적인 사례”라고 비판했다.
대구경실련은 “정 전 부시장은 지난 5월 29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이제 겨우 이삿짐 정리가 마무리되어 간다’며 ‘하루라도 빨리 관사를 비워줘야 한다는 부담이 가볍지 않다. 급하게 집을 구하고 했지만 무던히 기다려준 행정국 식구들이 고맙다’고 자신의 관사 이용을 양해해준 대구시 공무원들에게 고마움을 표했다”고 짚었다.
이어 “안중곤 행정국장은 대구축산물도매장 폐쇄 당시 대구시 경제국장으로 시설 폐쇄 안내문 부착하고 출입구에 잠금장치를 설치하는 현장에도 있었던 인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 전 부시장 등의 관사 사용에 대한 대구시 행정국의 이러한 태도는 가증스럽기까지 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끝으로 대구경실련은 “정 전 부시장과 이 전 특보의 면직 후 대구시 관사 사용과 이에 대한 대구시의 허용은 공직윤리는 물론 수오지심조차 갖추지 못한 이들이 민선8기 대구시정을 좌지우지했다는 것을 그대로 보여준 사례”라며 “이를 가능하게 한 홍 전 시장의 대구시정 운용 기조가 그의 시장직 사임 이후에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그대로 드러낸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상원 기자
solee412@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