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민-박근혜 적폐의 시작과 끝”···영남대 교수·직원·동문 힘 모아 “적폐 퇴출”

2012년 대선 이후 새롭게 영남학원 정상화 진영 꾸려져

16:50

“제가 올해 나이가 85살이다. 이제 와서 할아버지(최준, 영남대 전신 대구대 설립자)의 진짜 깊은 뜻, 그것을 터득하게 돼 말이 안 나온다. 눈물이 나서···. 여러분, 후배 여러분, 대학은 어느 사람의 소유도 아니고 설립자 개인의 것도 아니고 후손의 것도 아니다. 바로 여러분의 대학이다. 정말 누구도 50년 만에 이런 세상이 돌아올 줄 알았나. 사필귀정이라는 사자성어는 없는 거다, 잘못된 거라고 주장해왔는데. 50년이 지나니까 사필귀정이 되돌아오고 있다. 이런 점을 여러분들께서도 잘 음미하시면서 이 대학은 박정희, 박근혜 것도 아니고 우리 할아버지 것도 아니고 학생의 것이다. 우리나라에 사립대학의 롤모델이 될 수 있는 영남대를 발전할 수 있도록 성심을 다해주시길 부탁드린다.”

백발의 노구로 까마득한 후배들 앞에 선 최염 씨(85)가 감정이 북받치는 듯 말을 멈췄다가 다시 이어갔다. “지금으로부터 반세기 전이다. 1967년 12월 15일 반도호테루 924호 B실에서 대구대, 청구대 합동이사회가 열렸다. 그 자리에 유일하게 외부인사로 제가 참석했다” 최 씨는 기억을 더듬어 영남대가 탄생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수차례 언급했을 ‘1967년 12월 15일’, ‘반도호테루’, ‘924호 B실’은 더 또렷하게 각인된 듯 보였다.

▲“지금으로부터 반세기 전이다. 1967년 12월 15일 날 반도호테루 924호 B실에서 대구대, 청구대 합동이사회가 열렸다. 그 자리에 유일하게 외부인사로 제가 참석했다” 최염 씨는 기억을 더듬어 영남대가 탄생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최 씨를 포함해 영남대 교수와 학생, 동문, 영남학원 관련 시설 직원,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등은 13일 경북 경산시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앞에서 영남학원 적폐 청산과 민주적 학문공동체 회복을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2012년 대선 이후 물밑으로 가라앉았던 영남학원 문제가 정권 교체와 함께 다시 수면 위로 부상하는 모양새다.

2012년 18대 대선 당시, 대구에선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 후보와 영남학원의 관계를 묻고 박 후보와 영남학원의 관계를 끊어내려는 노력이 진행됐다. 학내외에서 대책위를 꾸렸다. 영남학원 구성 과정에서 벌어진 박정희 정권의 부당한 개입이 수차례 폭로됐다. 당시 학내에서 벌어진 비민주적 사건들도 알려졌다.

하지만 박근혜 후보는 대통령이 됐다. 박 씨가 대통령에 당선된 후 이틀 뒤, 학교법인 영남학원은 법인이사회를 열어 제14대 영남대 총장으로 노석균 당시 교수를 선임했다. 노 교수는 2008년 영남학원 재단정상화 추진위원장을 맡아 박 씨의 재단 복귀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됐다. (관련기사=영남대, 박근혜 재단복귀 기여한 노석균 교수 총장 선임(‘12.12.26))

박 씨는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영남학원 이사장과 이사로 재직했고, 학내외 민주화 바람으로 쫓겨났다. 2009년 당시 이명박 정부는 임시이사체제였던 영남학원 재단을 정상화한다는 명목으로 박 씨에게 이사 추천권을 줬다. (관련기사=[박근혜와 영남학원](1)영남대는 어떻게 “장물”이 되었나(‘12.11.5))

박 씨는 강신욱 전 대법관, 우의형 전 서울행정법원장, 박재갑 서울의대 교수, 신성철 카이스트 교수 등 4명을 이사로 추천했고, 우의형 전 법원장이 이사장이 됐다. 우의형 이사장 체제에서 영남학원은 직선제로 선출하던 영남대 총장을 간선 선출로 전환했다. 첫 번째 간선 총장으로 노석균 교수가 선택됐다.

이후 상황은 익히 알려진 바다. 2013년부터 영남대는 급속히 친박근혜 체제로 운영됐다. 노 교수가 총장으로 선출된 후 한 영남대 교수는 “할 말은 있지만, 말을 아껴야 할 때”라며 “국민 과반수가 박근혜 후보를 선택하면서 보수화됐고, 학교도 보수화되는 과정인 것 같다”고 조심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교수의 ‘조심’은 결과적으로 옳았다. 박 씨 재단 복귀를 반대했던 교수가 명예교수 심의에서 배제되거나(관련기사=영남대, 박근혜 재단 복귀 반대 교수 명예교수 탈락시켜(‘13.5.2)) , 박 씨를 비판했던 영남이공대 교수가 석연치 않은 이유로 파면된 상황(관련기사=영남이공대 박근혜 비판 교수 파면 추진…친박 체제 굳히기(‘13.5.12))을 봤을 때 그렇단 말이다.

굳건할 것 같던 친박근혜 체제는 지난해 탄핵 정국부터 조금씩 금이 가기 시작했다. 간헐적으로 학내 민주주의나 정상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하지만 이날처럼 대외적으로 다양한 단위가 함께 목소리를 낸 건 2012년 대선 이후 처음이다. 영남대 교수회, 직원노조, 비정규교수노조, 영남대학교병원 노조, 민주동문회가 함께 했고, 2012년 결성된 ‘영남대 재단정상화 범시민대책위’도 힘을 실었다.

민주동문회는 지난 8일 영남대 재단정상화를 위한 특별위원회도 구성해 재단을 친박근혜 체제에서 정상화하기 위한 대내외 활동을 본격화했다. 이상욱 민주동문회 회장은 “박정희, 최태민, 박근혜 일가의 적폐세력의 출발이 여기였고, 마지막 남은 완고한 성이 아직 학교 안에 존재한다”며 “민동은 이를 학교 내외에 알려내고, 조직하는 일들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동문회가 학교 밖에서 활동을 하면서 여론을 만드는 데 주력한다면, 교수회와 직원노조 등은 학교 안에서 민주주의 문제를 거론한다. 강광수 영남대 교수회 의장은 “지난 총장 시기에 있었던 예산 문제도 아직 해결 안 됐고, 총장 직선제에 대한 학내 여론이 있다. 이를 중심으로 활동을 이어나갈 계획”이라며 직선제 문제는 곧 있을 학과장 선거에서부터 관철할 수 있는 학과에선 시도하도록 노력할 거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