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선거 대구 학생의 목소리, “교육 불만 어디 호소하나요”

어려운 상황에서도 특별한 관심 보이는 학생들, "지방선거 알고 싶은데 알 길이 없다"

10:42

중학교 1학년 A(14, 여, 범어동) 씨는 일어나자마자 숨이 막힌다. 아침 등교 이후 밤 10시에 학원을 마치고 집에 돌아온다. 어젯밤도 집에서 때늦은 저녁을 먹고 과제하다 잠들었다.

잠이 부족하지만, 지각은 안 된다. 지각 세 번이면 무단결석 처리가 된다. 무단결석 기록이 생활기록부에 남는 것도 걱정이지만, 학생자치법정도 무섭다. 벌점 10점이 되면 학생 검사가 벌점 학생을 기소한다. 어떤 처벌이 이뤄지는지, A 씨는 들어본 적은 없다. 그래서 막연히 두렵다.

오후 4시께 학교를 마치면 오후 5시 30분부터는 학원 수업이 시작된다. A 씨는 단과 학원 3개를 다니며 4과목을 배운다. 하루 수업은 연달아 2개를 듣고, 수업 시간은 4시간이다. 저녁 먹을 시간은 없다. 주변 친구들도 사정이 똑같다. A 씨는 친구들과 과자를 나눠 먹는 걸로 빈속을 달랜다. 가끔 수성구 학원가 음식점에서 파는 컵밥이라도 먹고 싶지만, 자주 먹지 못한다.

잠이 많고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A 씨는 주말 여가시간도 갖기 어렵다. 수행평가 과제로 UCC 제작을 해야 한다. 친구들과 시간을 맞추는 것도 부담이다. 가장 큰 문제는 진학이다. 성적이 하위권에 머물면 전문계 고등학교에 가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이다.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 A 씨는 주말, 밤, 그리고 학교 점심시간도 짬을 내서 쏟아지는 과제를 한다. A 씨에게는 다른 데 관심을 쏟을 시간이 없다. 6·13 지방선거를 한 주 앞둔 5일, 대구 청소년들의 시계도 바쁘게 돌아갔다.

▲대구 수성구 학원가

교육감 뽑는 선거지만, 학생은 바쁘다
관심 많지만, 지방선거 접할 기회 없는 경우도
촛불 집회 보며 선거 중요성 느껴

같은 날, 바쁜 와중에도 지방선거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도 있었다. 오후 2시 학교를 마친 초등학교 6학년 B(13, 여, 만촌동) 씨는 지방선거에 관심 있지만, 알 길이 없다고 했다. B 씨의 아버지가 아침마다 보는 신문에서 지방선거 이야기를 언뜻 읽었다. 하지만 아버지는 “나중에 커서 알아라”라며 등을 돌렸다. 수업 시간에 선거에 대한 내용을 배우긴 했다. ‘비밀투표 원칙, 민주주의, 삼권분립’ 따위의 내용이 피부에 와닿지 않았다. 선거와 정치에 대해 더 알고 싶었지만, 생각에 그쳤다.

B 씨가 특히 관심을 키운 계기는 2017년 촛불집회를 방송으로 접하면서다. 첫 여성 대통령이라서 막연한 호감이 갔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당하는 걸 보면서 B 씨는 “겉모습으로만 판단해서는 안 되겠구나. 대통령 한 사람이 잘못하면 여러 사람이 피해를 받는구나”라고 생각했다.

▲수성구 한 초등학교 앞에서 하교 중인 학생들

주변의 부조리한 것들도 눈에 띄기 시작했다. 운동장이 좁고, 급식실마저 없어서 학생들끼리 배식 당번을 돌아가야 하는 점이 개선되길 바랐다. 학년제로 치르는 시험도 불만이다. 이도 저도 아닌 것처럼 느껴지고, 벼락치기를 하게 되기 때문이다. 아예 평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면 차라리 학기제가 낫다고 생각한다. 학교가 학교 폭력 실태를 조사하는 방식도 불만이다. 6교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교실에서 전 학생에게 학교 폭력에 대해 쪽지에 쓰라는 지시를 받으면 쓸 말이 없는데도 눈치가 보인다.

B 씨의 최대 관심사는 수학여행이다. 최근 대구 한 학교의 현장학습 과정에서 불거진 문제 때문이다. B 씨는 학교생활에도 여러 문제가 있다는 것을 느꼈지만, 딱히 의사를 표시할 방법은 알지 못한다. 교육 행정 전반을 책임지는 교육감이라는 직책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어떻게 의사 표현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배울 기회가 없었다.

“한 번밖에 없는 수학여행, 좋은 추억 남기고 싶어요. 그런데 못 갈지도 모른다는 말이 들리더라고요. 문제 생겼다고 안 가는 것보다는 교육을 확실히 하고 예방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학생들 다 실망하고 있어요.”(B 씨)

B 씨는 또래보다 정치에 일찍 관심 갖은 편이다. 초등학교 같은 반 친구들인 ㄱ(12, 여), ㄴ(12, 남), ㄷ(12, 남) 씨는 “놀고 싶은데 학원에 가는 것”이며, 시험 치는데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유세가 너무 시끄러웠다는 것이었다.

문제 해결을 고민해보지 않았다. ‘최순실’이란 말은 이들에게 단순히 최 씨 성을 가진 친구를 놀릴 때 쓰는 말이다. 정부 권력 서열을 묻는 취지로 “대통령이 해외 순방에 가면 누가 직무대리를 하느냐”는 시험 문제를 내자 “최순실”이라는 답이 유행했다는 것도 웃지 못할 상황이다.

“교육감, 학생 목소리도 들어 달라”
“대통령도 청원 듣는데 교육감이 더 거리감 느껴져”

5일 오후 4시, 중학교 하교 시간 범어동 일대를 지나는 학생들은 서둘러 어딘가를 향해 흩어졌다. 학생들은 문제지를 손에 들고 가기도 했고, 휴대전화로 통화를 이어가기도 했다. 길거리 음식점에서 삼삼오오 간식을 먹는 학생도 있다. 통신사 대리점에는 게임을 완전히 차단해준다는 ‘공신폰’ 광고가 붙어 있다. 문제지를 든 한 중학생은 지방선거 일자를 묻자 “공부에만 집중해도 늦어요. 저희는 그런 걸 알 필요가 없어요”라며 지나쳤다. 현 교육감이 누군지 묻자 한 고등학생은 “이름이요? 우동? 맞나? 누구라도 우린 별로 기대할 게 없어요”라고 답했다.

▲수성구 한 중학교 하교 시간

학생의 정치적 의사 표시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학생도 있었다. 이들은 투표권이 제한된 것에 문제의식이 있었고, 주변 환경을 바꾸는 방법도 필요하다고 한다.

중학생 류 모(14, 남) 씨는 “민주주의와 지방자치에 대해 배웠어요. 정치에 관심도 많아요. 투표권도 중학생한테까지 달라고는 못 하겠는데 적어도 고등학생한테는 줘야 해요. 교육감이 학생 문제를 다루는데 학생은 투표도 못 하잖아요”라며 “교육감 선거에서 의무급식, 무상교복 이런 얘기 들리는데 사실 교복은 비싸니까 완전 무상보다는 저소득층 위주 지원이 나은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중학생 장 모(15, 여) 씨는 교육에서는 물론, 학생도 실제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장 씨는 “국정교과서 문제도 있었는데, 국가가 내용을 검열하지 말고 교육 과정에서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더욱 자세히 알려야 해요”라며 “1학년 때 배우는 3권분립, 대통령제 이런 건 먼 얘기고, 중요한 건 지방선거죠. 교육감을 뽑는 건데, 그런데 막상 교육감을 뽑으면 우리와는 거리가 멀어요. 청와대 청원처럼 쉽게 건의 할 수 있는 창구도 없고. 교육청 민원은 사실 올린다고 바뀌는지도 모르겠고, 보기나 하는지도 모르겠어요”라고 꼬집었다.

▲교육환경보호구역 표지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