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선우] 브리트니를 불행으로 몰아넣은 이는···‘프레이밍 브리트니’

09:29

미국의 팝스타 브리트니 스피어스는 미시시피 주의 작은 도시 매콤에서 태어나 루이지애나 켄트우드의 작은 마을에서 자랐다. 그는 어릴 적부터 교회 성가대에서 노래를 부르며 비범한 재능과 실력을 뽐냈다. 그의 부모는 어린 딸을 뉴욕으로 데려가 빚을 내면서까지 노래와 춤 수업을 받게 했다. 덕분에 브리트니는 당시 미국 아역들의 스타 등용문 디즈니 미키마우스 클럽 오디션에 붙는다. 하지만 프로그램은 2년 만에 폐지된다.

브리트니는 고향으로 돌아와 평범한 고등학생으로 지내다가 본격적으로 가수에 도전한다. 부모는 브리트니의 어린 동생을 돌보느라, 브리트니는 혼자서 고된 가수 생활을 시작한다. 사실 이 무렵 아버지 제이미는 연이은 사업실패로 파산신청을 한 상태였고 알코올 중독자였다. 그는 아버지 역할도 못하면서 브리트니가 가수로 성공해 자신에게 요트를 사줄 것을 기대했다.

브리트니는 세계적인 레코드 사인 ‘자이브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1998년 10월 23일 데뷔 싱글 <…Baby One More Time>를 발매한다. 미국을 포함해 세계 주요 국가 1위를 모두 석권한다. 이후 발매하는 앨범마다 대성공을 거두며 대스타로 떠오른다. 엔싱크, 백스트리트 보이즈 등 보이 밴드가 판치던 팝계에 브리트니는 정점에 올라선다.

당시 언론은 브리트니에 대해 이렇게 언급했다. “사랑스럽고 순진하고 순결한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속옷 차림의 요부.” 브리트니가 데뷔 초 인기를 끈 요인은 ‘이웃집 소녀’ 같은 친근함이었다. 하지만 대중은 그를 ‘성적 대상’으로 바라봤다. 방송에서 그를 인터뷰할 때 ‘첫 경험’ 여부와 특정 신체 부위 치수를 묻는 질문은 빠지지 않았다. 당시 그는 미성년자였다.

브리트니가 몰락하게 된 건 1999년 가수 저스틴 팀버레이크와 사귀게 되면서부터다. 언론은 저스틴과 브리트니를 ‘세기의 커플’로 칭했지만 둘은 3년 만에 헤어진다. 저스틴은 브리트니를 홍보 수단으로 이용했다. 인기를 끌기 위해 연인이었던 브리트니의 사생활을 방송에서 언급하고, 자신의 뮤직비디오에서 브리트니가 마치 바람을 피운 것처럼 연출했다. 저스틴은 브리트니를 팔아 대스타로 발돋움하고 당시 전성기를 달리던 브리트니는 대중으로부터 뭇매를 맞았다.

이후 브리트니는 백댄서인 케빈 페더라인과 결혼했고, 파파라치들에게 일거수일투족을 감시당했다. 당시 케빈은 아이 둘을 둔 이혼남에 임신한 동거녀가 있었다. 대중은 더욱 더 브리트니의 사생활을 파고들었다. 그의 결혼, 출산, 이혼은 연일 방송에 회자됐다. 식당에서 밥 한번 편하게 먹을 수 없었고, 특정 행동은 큰 오해로 번졌다. 세상은 그를 낭떠러지로 몰아세웠고 아무도 손길을 내밀지 않았다. 브리트니는 피폐해졌다. 어느 날 자신의 머리를 밀고 몸에 타투를 새겼다. 대중이 탐닉하는 존재로 살고 싶지 않다는 저항이었다.

하지만 브리트니의 고통은 돈벌이 수단이 됐다. 파파라치가 찍은 사진은 장당 100만 달러(11억 원)에 거래되고, “브리트니가 잃은 것은 머리카락, 위생 그리고 정신”이라는 빙고 게임이 TV프로그램 소재로 나왔다. 모든 미디어는 브리트니를 조롱하고 비하했다. 그를 향한 집단 폭력은 정당한 비판으로 둔갑됐다. 트러블메이커와 부적격한 엄마라는 오해가 브리트니에 덧씌워졌기 때문이다.

우울증에 시달리던 브리트니는 결국 약물중독에 빠진다. 불안증세가 심해져 2008년에는 두 아이에 대한 양육권과 면접교섭권을 모두 박탈당한다. 캘리포니아 주법원은 아버지 제이미를 브리트니의 후견인으로 지정했다. 이때까지 존재감이 없던 제이미는 5,900만 달러(약 653억 원)에 달하는 브리트니의 재산 관리와 그의 일상을 통제한다. 브리트니는 아버지를 후견인에서 제외해달라는 법적 소송을 벌이고 있다.

자신을 냉소적으로 대하는 세상에서 브리트니는 발버둥쳤다. 그는 2008년 9월쯤 재기에 성공해 2011년에는 후일 전설로 기록된 무대를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이후 간간이 앨범을 발표하며 종종 미디어에 모습을 드러내던 브리트니는 2019년 돌연 자취를 감췄다. 재활에 매진하고 있다고 하는데, 팬들은 아버지에 의해 재활시설에 감금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2021년 2월 뉴욕 타임즈가 공개한 다큐멘터리 <프레이밍 브리트니> 속 내용이다. 다큐는 팝스타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우울증과 약물중독에 시달리다 재활시설을 오가게 된 과정을 조명한다. 미국 연예잡지는 “우리 모두 브리트니에게 책임이 있다”는 사과문을 올렸다. 브리트니를 이용해 인기를 끈 팝가수 겸 배우 저스틴 팀버레이크는 자신이 저지른 잘못에 대해 18년 만에 겨우 SNS에 사과문을 올렸다.

브리트니의 고통은 낯설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도 수많은 연예인이 브리트니와 다르지 않은 처지에 놓였다. 최근 한 여배우는 화류계 남자친구설에 휩싸여 유언비어에 고통을 당했다. 대중은 그의 연애가 사회적 물의인 것처럼 대하고 그를 힐난하다가 이내 관심을 옮긴다. 또 다른 한 배우는 이혼한 뒤 근거 없는 낭설에 시달려왔다. 한동안 자숙해야 했고 대중에 모습을 드러냈을 땐 반성하는 태도를 보여야 했다. 사실 유명인의 결혼과 이혼에는 과도한 관심이 늘 따라붙어왔다. 해외에 거주 중인 은퇴한 축구선수와 그의 아내는 유명을 달리한 선배의 장례식에 조문을 오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아야 했다. 한 배우는 코로나19 사태 확산 방지를 위해 기부를 했다가 기부금이 적다는 이유로 지탄을 받아야 했다.

연예인 사생활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갑론을박이 펼쳐져 왔다. 한쪽에선 사생활은 연예인이라는 ‘상품’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라는 이유로 연예인의 사생활 공개가 당연하다고 주장한다. 인기와 수입을 올리기 위해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를 공개했다면 사생활도 정보 가운데 하나이므로 공개해야 하고, 팬들의 사랑과 관심에 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쪽에선 알 권리를 내세워 연예인의 사생활 공개를 요구하는 것은 엄연한 기본권 침해라고 맞선다. 연예인의 사생활이 무분별하게 공개된다면 자신은 물론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고, 확인되지 않은 사실까지 퍼져 또 다른 피해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전자가 옳다고 여겨져 왔지만, 최근에는 각종 부작용이 터져 나오면서 후자로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하지만 이미 중독된 연예인 사생활에 대한 관심은 수그러지지 않는다. 연예인의 불행으로 밥벌이하는 작자들의 탓일까. 검증도 못하고 선동만 하는 언론 탓일까. 물론 그들에게 가장 큰 책임이 있지만 그들이 만들어낸 자극적인 루머와 뉴스를 소비하는 건 바로 우리들이다.

손선우 전 영남일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