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국, 대구·경북 병원 89회 발열환자 진료 거부

대구가톨릭대병원 가장 많은 13회
1인 최대 6회까지 거부당하기도
코로나19 의심 이유가 가장 많아
국민안심병원도 진료 거부해

18:26

지난해부터 올해 8월까지 대구·경북에서 발열 증상 등으로 구급차를 이용해 병원을 찾았던 환자 64명이 진료 거부 등의 이유로 발길을 돌려야 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환자 1명이 많으면 6개 병원에서 진료 거부를 당하는 경우도 있어서 거부 사례는 89회로 집계되고, 대구가톨릭대병원이 13회로 가장 많은 진료 거부를 한 것으로 확인된다.

<뉴스민>이 강기윤 국회의원(국민의힘, 경남 창원시 성산구)실을 통해 확보한 대구·경북 발열 환자 병원 수용 거부 사례 현황에 따르면 대구에서 35명, 경북에서 29명이 지난 8월까지 진료 거부당하는 일을 겪었다. 거부가 1회에 그친 경우는 대구 31명, 경북 23명 등 54명(84.4%)이고 10명은 2회 이상 거부를 당했다.

진료를 1회라도 거부한 병원은 모두 37곳인데, 울산 소재 병원 1곳을 제외하면 모두 대구, 경북 소재 병원이다. 대구가톨릭대병원이 13회로 가장 많이 거부했고, 대구파티마병원 9회, 경산세명병원 5회 순으로 많았다.

병원이 환자 진료를 거부한 이유는 코로나19 환자로 의심된다는 이유가 38회(42.7%)로 가장 많다. 전문의 부재와 사전 고지 등의 이유가 19회(21.3%)로 뒤를 잇는다. 대구가톨릭병원도 13회 중 5회를 코로나19를 이유로 거부했다.

대구가톨릭대병원 가장 많은 13회
1인 최대 6회까지 거부당하기도
코로나19 의심 이유가 가장 많아
국민안심병원도 진료 거부

많이 거부한 상위 3개 병원 중 대구가톨릭대병원을 제외한 2곳은 지난해 2월부터 정부가 지정한 국민안심병원이다. 파티마병원은 2월 27일, 경산세명병원은 3월 3일 지정됐다. 이들 병원이 진료를 거부한 것은 모두 안심병원 지정 이후이고, 거부 사유가 코로나19인 경우는 각각 3회, 2회다.

국민안심병원은 정부가 코로나19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일반 환자 진료 공백을 막고자 시행한 제도임에도 공백을 완전히 막을 순 없었다는 의미다. 특히 지난해 8월 고열 증상을 보인 82세 남성은 입원 치료도 가능한 B 유형 안심병원으로 지정된 삼일병원에서 처음 거부당한 후 추가로 다섯 곳에서도 진료를 거부 당했다.

대구소방본부에 따르면 해당 환자는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는데, 해당 질환을 돌볼 전문의가 삼일병원에 없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구급대원이 대구 소재 대학병원 5곳에 환자 내원을 문의했지만 선뜻 환자를 받겠다는 곳은 없었다.

대구가톨릭대병원, 계명대학교병원, 경북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영남대병원 등 5곳이 코로나19 환자 의심을 이유로 하거나 환자가 기존에 앓던 기저질환을 치료하던 병원으로 가라는 이유 등으로 거부했다. 119구급대가 이 환자와 관련해 신고를 받고 출동한 시각이 밤 11시 2분경이고 최종적으로 병원에 인계한 시각은 11시 50분이다.

가톨릭대병원과 계명대병원을 제외한 3개 대학은 모두 국민안심병원 지정 병원이었지만, 최종적으로 환자를 받은 병원은 안심병원도 아닌 가톨릭대병원으로 확인된다. 최초에 가톨릭대병원이 환자 수용을 거부한 이유는 병상 부족이다.

경북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 지난해 8월 83세 여성은 국민안심병원으로 지정된 상주적십자병원에서 병상부족을 이유로 진료를 거부당했고, 상주성모병원, 문경제일병원, 김천제일병원, 구미차병원, 구미순천향병원에서도 진료를 거부당했다. 상주적십자병원 외에 다른 병원들도 모두 안심병원 지정 병원이다.

한편 강기윤 의원실이 전국 16개 소방본부를 통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이같은 일을 전국에서 2,969명이 당했다. 경기도 2,327명, 서울 167명, 광주 91명 순으로 많았고, 광주의 경우 15회까지 거부 당하는 사례도 있었다.

강 의원은 “병상부족 등의 이유로 진료를 못받는 경우는 어쩔수 없지만, 단순히 발열로 인해 코로나가 의심된다는 이유만으로 진료를 받지 못하는 것은 국민 건강권에 심각한 침해가 아닐 수 없다”며 “환자 전원 시 응급실 간 정보를 공유하게 하는 등 관계 당국의 보다 실질적인 대응책 마련이 절실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상원 기자
solee412@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