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강원, 전국 풍력발전 50% 몰린 이유는···

강원이 207기, 경북 170기···세워진 데 또 세워져
지자체, 풍력발전 인허가 이유는 경제효과
사업자, 풍력 입지와 함께 송전 인프라, 주민 수용성 고려

17:57
Voiced by Amazon Polly

전국의 풍력발전 현황을 보면 경북과 강원에 전체 풍력발전기의 50%가 집중된 것으로 확인된다. 경북은 170기로 강원 다음으로 풍력발전기가 많다. 광역자치단체 내에서도 특정 기초자치단체에 집중됐다. 한 번 발전기가 들어선 후에는 송전선로 등 인프라가 마련되어 진입장벽이 낮아진 탓으로 설명된다.

올해 한국풍력산업협회가 펴낸 국내 풍력발전기 설치현황(2021년 12월 기준)을 살펴보면 육상과 해상 풍력을 더해 총 109개소에 풍력발전기 757기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육상이 101개소(706기)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국내 풍력 발전량은 총 170만 5,215kW으로 조사 대상 발전기 1기 단위용량은 100kW 이상이다.

한국풍력산업협회 관계자는 “풍력발전단지 입지를 선정할 때 고려되는 것은 먼저 계측기를 이용해 풍향을 체크해서 바람이 좋은 지를 살핀다. 그리고 토지소유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주민 수용성 문제도 고려한다”며 “환경영향평가나 주민 수용성 문제로 사업이 무산되거나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풍력발전기는 인구가 적은 지역에 집중된 모습이다. 17개 광역시도 중 서울·대구·광주·대전·세종·충북 6개 지역에는 전무했고, 울산·충남·부산에는 1기가 전부였다. 반면 강원·경북·전남·제주 4개 지역에는 100기가 넘는 풍력발전기가 있고, 현재 공사 중이거나 계획 중인 곳이 많아 더 늘어날 예정이다.

광역시도 중에서도 특정 도시에 몰려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경북 23개 시·군 중 영양군에 절반 정도가 밀집돼 있었고, 경주와 영덕까지 포함하면 경북 80% 이상을 차지한다. 강원도는 평창과 태백, 전남은 영광, 경남은 의령 등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도 특정 기초지자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 풍력발전기는 인구가 적은 시골 지역에 집중된 모습이다. 강원·경북·전남·제주 4개 지역에는 100기가 넘는 풍력발전기가 있고, 특히 강원과 경북 지역에 그중 절반 정도가 집중돼 있다. 17개 광역시도 중 울산·충남·부산에는 1기가 전부였고, 서울·대구·광주·대전·세종·충북 6개 지역에는 전무했다.

지자체, 풍력발전 인허가 이유는 경제효과
사업자, 풍력 입지와 함께 송전 인프라, 주민 수용성 등 고려

자치단체에서 풍력산업을 허가하는 이유는 경제 효과 때문이다. 경북 한 군청 관계자는 “지역에는 경제 효과를 유발할 만한 기업이 없다. 대부분 농사를 짓고 있고, 인구고령화 상황이 있다 보니 지역개발의 일환으로 풍력발전 사업에 문제가 없다면 허가를 해준다”고 언급했다.

가장 많은 풍력단지가 있는 강원도는 에너지과에 신재생에너지팀을 별도로 만들어 보급 추진을 돕는다. 강원도 에너지과 관계자는 “강원도가 풍향 바람 자원이 가장 좋은 지역이고, 관광지나 고랭지 채소단지, 축사 등이 있어서 접근성이 괜찮다. 산림보호 지역에 길을 만드는 것과 비교해서 경제성이 좋다보니 (사업자들이) 선호하는 것 같다”며 “다른 지역도 그렇겠지만, 강원도 역시 주민 반발도 있다. 도입된 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주민들에게 이익 공유를 하는 부분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기준으로는 평창은 75기, 태백은 68기로 강원도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평창군이 초창기부터 시작해서 작은 용량이 많고, 태백은 (풍력발전기가) 더 커서 발전용량이 더 많다”며 “강원도에서 다 쓰는 전기가 아니라 송전선로가 대부분 경기도, 서울로 다 연결돼 있다. 대부분 다 보낸다고 보면 맞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자체 지원과 함께 이미 구축된 송전선로 등 인프라도 특정 지역에 풍력발전이 몰리는 원인이다. 한 풍력발전사업 관계자는 “발전된 전기를 보내려면 송전선로도 구축돼 있어야 한다. 송전선로를 만들려면 허가도 필요하고, 비용도 든다”며 “송전선로가 없는 곳에 만드는 것보다는 이미 만들어진 곳에서 추가로 만드는 게 더 비용이나 효율면에서 낫다”고 설명했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