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유리천장’ 여전…여성 5급 이상 공무원 27%, 기초의원 광역시 꼴찌

'유리천장' 수치로 확인... 경제활동인구 20대 제외 모두 남성 앞서
대구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2022 통계로 보는 대구 여성의 삶' 발간

21:10
Voiced by Amazon Polly

대구 여성들에게 ‘유리천장’은 여전히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대구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원장 정순천) 여성가족본부가 발간한 ‘2022 통계로 보는 대구 여성의 삶’에 따르면 맞벌이는 늘고 경력단절 여성은 줄었으나, 여전히 비율은 7대 광역시 중 가장 높았다. 대구시 5급 이상 여성 공무원은 27.6%에 그쳤고, 여성 기초의원 비율도 7대 광역시 중 꼴찌였다.

지난 2015년부터 발간된 ‘통계로 보는 대구 여성의 삶’은 ▲인구 및 가구 ▲가족 ▲보육 및 교육 ▲사회참여 ▲ 건강 및 복지 ▲안전 및 환경 ▲문화 7개 영역을 중심으로 7대 특·광역시 비교를 통해 대구여성의 삶의 현황과 특색을 살펴보고 있다. 자료는 대구시의 양성평등 정책 수립에 활용되고 있다.

여성 노령 인구 근소하게 더 많고
여성 가구주도 증가세, 향후 ‘미혼’ 비중 커질 듯

지난해 기준 대구 노령 인구의 여성 비율은 7대 광역시 중 가장 높고, 전국 평균 56.4%보다 1%p 높다. 2020년 기준 대구 1인 가구 304,543가구 중 여성 1인 가구가 53.7%(163,591가구)로 남성 가구보다 7.4%p 높았다. 대구 여성 1인 가구는 전국 평균(50.3%)보다 높고, 7대 광역시 중에 가장 높은 부산과 근소한 차이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대구 여성 가구주는 319,111가구(33%)로 전국 평균(32.3%)보다 높은데, 향후 대구 여성 가구주의 비율은 2030년 35.8%, 2040년 35.7% 등 계속 증가세가 예상된다. 지난해 혼인 상태별 여성 가구주는 사별(31.5%)이 가장 많고, 미혼은 20.8%였다. 그러나 2040년에는 미혼 28.3%, 사별 25.3%으로 역전할 것으로 예측됐다.

결혼하는 사람 줄고, 결혼 대비 이혼율 늘어
한부모 가족 상당수는 모자 가구
다문화 가구도 최근 3년간 5.9% 증가

대구 혼인 건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대구 혼인건수는 7,287건으로 최근 3년간 연평균 14.1% 감소했다. 이혼 건수는 지난해 기준 4,111건으로 감소 추세이나 결혼 대비 이혼비율은 지난해 56.4%로 전년 대비 9.3%p 증가했고, 전국평균(6.5%)보다 2.8%p 높은 상황이다.

2020년 기준 대구 한부모 가구는 80,093가구이며, 그 가운데 모자(母子)가구가 61,071가구(76.3%)로 상당수였다. 다문화 가구도 2020년 기준 10,919가구로 최근 3년간 5.9% 증가했다.

일하는 여성도 남성에 비해 육아에 더 큰 책임을 지고 있었다. 대구 모부성 보호제도 순지급자는 출산전후휴가를 제외하고 모두 증가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기준 대구여성 2,341명이 출산전후휴가를 사용해 최근 3년간 연평균 1.8% 감소했고, 육아휴직은 6,334명, 육아기 근로단축은 835명이었다. 특히 육아기 근로단축은 최근 3년간 117.8% 증가해 2019년 대비 6.5%p 증가해 7대 광역시 중 가장 컸다.

반면 대구 남성은 지난해 기준 배우자출산휴가 470명, 육아휴직 1,045명, 육아기 근로단축 69명으로 각각 확인된다. 최근 3년간 배우자출산휴가는 234.5% 증가한 반면 육아기 근로단축이 여성에 비해 적게 증가했다.

20대 제외하고, 경제활동 인구 모두 남성이 앞서
경력단절 여성 줄었으나, 비율은 7대 광역시 최고

지난해 기준 대구 경제활동인구 126만명 중 여성은 43.4%로 남성보다 13.2%p 낮다. 경제활동인구 성별 격차는 20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남성 경제활동 인구 비율이 높았다. 여성은 20대가 남성에 비해 4.9%p 높았고, 남성은 30대 20.5%p, 60대 이상 18.9%p, 40대 15.4%p, 50대 12.4%p로 여성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 여성 평균임금은 2020년 기준으로 193만원으로, 남성보다 103만원 더 적었다. 2018년과 비교해 1.1%p 격차가 줄었다.

대구 경력단절 여성은 지난해 기준 76,769명으로 전년대비 10,886명 줄었고 최근 3년간 연평균 6.4% 감소했다. 그러나 경력단절 여성 비율은 7대 광역시 중 가장 높았다. 대구 여성의 경력단절 사유로는 지난해 기준 결혼준비 35.6%(27,323명), 육아 30%(23,062명), 임신·출산 24.2%(17,558명), 가족돌봄 6.3%(4,799명) 순이었다. 결혼준비와 임신·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이 7대 광역시 중 2번째로 높았다.

대구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2020년 기준 126,560명인데, 그중 여성이 71,499명(56.5%)로 남성에 비해 많았다. 전국평균(55%) 보다 1.5%p 높고, 7대 광역시 중에서 가장 높은 상황이다.

‘유리천장’ 여전… 대구 5급 여성 공무원 27.6% 불과
여성 기초의원도 7대 광역시 중 꼴찌

대구의 5급 이상 공무원은 지난해 1,078명으로 그 중 여성은 297명(27.6%)에 불과했다. 다만 최근 3년간 5급 이상 여성 공무원은 연평균 22.8% 증가했고, 전국평균(24.3%)보다 다소 높긴 하나 7대 광역시 중에는 대전(25.9%)에 이어 2번째로 낮았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 당선자는 광역의원의 경우 11명(34.4%), 기초의원 40명(33.1%)로 남성보다 모두 30% 적었다. 광역의원의 경우 전국평균보다 14.6%p 높고, 7대 광역시에서도 2번째로 높았다. 반면 기초의원은 전국 평균보다 0.3%p 낮고, 7대 광역시 중에서는 가장 낮았다. 대구 지방자치단체 위원회 위촉위원을 살펴보면 지난해 기준 여성 2,840명(45.6%), 남성 3,834명(45.4%)로 여성이 남성보다 1천명 정도 적었다. 7대 광역시 중에서는 3번째였다.

정순천 대구행복진흥서비스원장은 “변화하는 대구여성의 삶을 지표들을 시민들에게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연구와 현장경험을 접목해 지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보고서는 대구시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여성가족본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