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정치포럼] “기후운동, 시민의 언어로 현실에 닿아야”

이명은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장

12:26
Voiced by Amazon Polly

21일 열린 기후정치포럼 ‘TK리부트 : 기후민주주의자들’에서 이명은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장은 지역 기후시민들의 인식의 간극을 좁히고, 기후운동이 시민의 언어로 현실에 닿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럼은 대구 수성구 전교조 대구지부 강당에서 열렸고, 뉴스민과 기후정치바람이 공동주최했다.

토론자로 나선 이명은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장은 “기후정치바람의 기후인식 설문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 절반이 ‘기후시민’으로 분류됐다”며 “지난 총선을 앞두고 기후의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권자를 물어보니 10명 중 3명이었다. 기후위기를 인식하는 것과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행동 사이에 거리가 있다”고 전제했다.

▲ 이명은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 집행위원장

특히 이 위원장은 대구 폭염 문제, 산업구조 특수성과 관련해 기후위기 대응이 중요한 문제라고 했다. 그는 “대구는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독특한 조건을 지닌 도시”라며 “매년 반복되는 폭염과 열섬 현상이라는 직접적인 기후위기 피해를 겪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수적인 정치지형과 핵심 산업 구조의 특수성 속에서 전환 논의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구는 전통적으로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부품 산업과 섬유·염색 산업이 발달한 도시인데, 자동차 부품 산업은 전기차 전환이라는 시대 흐름 속에서 구조적 위기를 맞고 있다. 섬유 산업은 고탄소·고오염 업종으로서 친환경 전환이 시급하다”며 “이들 산업은 대부분 중소·영세사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술과 자본의 한계로 인해 전환 대응력이 낮은데, 기후위기 대응은 이들에게 생존의 문제”라고 부연했다.

이 위원장은 “기후운동은 산업과 노동의 전환을 함께 이야기하지 않으면 지역에서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며 “대구 기후운동은 ‘탈탄소’만이 아니라, 노동권과 지역경제를 함께 살리는 ‘공정한 전환’을 중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구체적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어 기후정치바람이 조사한 기후위기 인식조사 중 대구 군위군에 소형모듈원자로(SMR)를 설치에 대해 찬성 45.8%, 반대 22.3%로 찬성 여론이 높게 나타난 사실을 짚으며, “SMR 위험성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지역 내에서 아직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다.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볼 수 있는 자리를 많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23년 대구로 편입된 군위군은 지리적 거리감과 행정적 변화가 뒤섞인 공간으로 아직 시민들에게는 ‘대구 안의 문제’로 다가오지 않고 있다”며 “SMR 설치는 향후 대구시 전체의 에너지 전환 방향과 직결되는 사안이다. 이번 대선에서도 핵발전 비중에 대한 후보 간 입장차가 있는 만큼, 시민들의 인식 변화와 정치적 판단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구기후위기비상행동’은 지난 2019년부터 느슨한 네트워크 형태로 지역에서 기후대응 기반을 마련해왔다. 이 집행위원장은 “대선을 앞두고 기후정치행동학교를 열어 시민 교육을 시도했고, 기후정치의 출발점으로서 유권자의 영향력을 키우고자 한다”며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민이 정책을 변별하고, 기후정책을 제안하는 주체가 되는 기후정치의 기반을 다져야 할 때”라고 했다.

끝으로 “기후시민, 기후정치, 지역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같이 가야한다. 기후운동이 시민들의 인식을 묶어낼 수 있는 현실의 언어를 쓸 수 있으면 좋겠다”며 “SMR이나 폭염, 산업구조, 교통 등 대구의 맥락을 가지고 지역성을 가진 기후정의운동이 펼쳐지고, 기후정치가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