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이동노동자쉼터 운영 주체가 시에서 구·군으로 바뀌었다. 대구시는 기존 범어동, 장기동에 각 1개씩 이동노동자쉼터를 운영해 왔으나, 이를 중단하고 구·군이 직접 시행하는 매칭사업으로 전환했다. 올 하반기부터 동구는 편의점 바우처로, 군위군은 의흥시장 내 거점공간으로 쉼터를 운영한다. [관련기사=대구 이동노동자 실태조사···“쉼터 확충으로 노동환경 개선되어야”(‘25.06.12.)]
대구 동구는 이달부터 관내 24시 편의점 15곳을 이동노동자쉼터로 운영한다. 대리운전이나 퀵서비스, 택배, 배달 등 이동노동자들은 지정 쉼터에서 화장실을 쓰거나 휴식을 취하고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고 쿠폰으로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면 된다.
쿠폰은 동구에 거주지나 사업장을 둔 이동노동자에게만 선착순 400명까지 지급한다. 선정된 이들은 사이버 안전교육을 이수한 뒤 월 1~2만 원 정도 쿠폰을 제공받는다. 6월 31일까지 대구경북고용복지연구원을 통해 신청하면 되고, 쉼터 위치는 대구 동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군위군은 이달 말부터 의흥면 의흥전통시장 내 이동노동자쉼터를 운영할 예정이다. 유동인구가 많은 군유지를 선정해 현재 기초토목공사 중이며, 공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별도 관리자 없이 열려 있을 예정이다.
군위군 관계자는 “군위군은 농촌 지역이라 이동노동자 직군이 좀 다르다. 배달라이더는 별로 없는 대신 1톤 트럭 기사나 집배원, 시장 내 배달 도우미 등이 쉼터를 유용하게 이용할 거라 본다”며 “인건비를 별도로 책정하지 않아 상주 인원은 없지만, 상가번영회 측에서 올해는 협조를 해주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구·군 사업으로 쉼터가 재운영하게 되는 건 환영할 일이지만, 동구와 군위군 두 곳만 운영을 하면서 확대 필요성이 지적된다. 또 기존 거점공간 형태로 운영되던 대구시 이동노동자쉼터와 비교해 편의점을 활용해 운영하는 동구는 쉼터의 기능 측면에서 여러 한계가 예상된다.
김무강 민주노총 대구본부 정책기획국장은 “쉼터가 다시 운영되는 건 환영할 일이나 동구, 군위군 소수의 지자체만 운영해 타 구·군 이동노동자의 이용이 제한되는 점은 아쉽다. 폭염에 이동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타 구군으로 쉼터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편의점을 활용한 쉼터가 접근성 측면에선 장점이 있지만 적절한 휴식을 제공하기엔 이용이 제한되는 점, 공간을 넘어 노무·법률 상담 등 지원이 불가능한 점은 한계다. 향후 대구시가 추가적인 사업이나 지원으로 채워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보현 기자
bh@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