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참사는 끝나지 않았다”

밝혀진 피해규모 빙산의 일각···철저한 진상규명 필요
전국 순회 기자회견, ‘피해자를 찾습니다’

15:29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환경시민단체는 밝혀진 가습기살균제 참사 피해규모가 빙산의 일각이라며, 정부 차원의 진상 규명 작업이 계속 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지난 5월 한정애 환경부장관은 “가습기살균제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는 끝났고, 계속해서 ‘진상조사화’ 되는 데 우려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7일 오전 대구 이마트 만촌점 앞에서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와 대구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을 열고,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 규명 작업을 계속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7일 오전 대구 이마트 만촌점 앞에서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와 대구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을 열고 진상 규명 작업을 계속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가습기살균제 참사 피해 규모를 조사한 환경보건시민센터 보고서를 공개하고, 정부와 기업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자리에는 피해 당사자와 가습기살균제로 아내를 잃은 유족 김태종 씨도 함께 했다. 김태종 씨는 “제 아내는 스물 한 번 병원에 입원했고, 스물 여섯 번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고 2020년 8월 10일 세상을 떠났다”며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고자 7,471명 중 1,661명이 사망했다. 단일 사건에서 1,000명은 최대 사망자가 아닌가. 가습기 살균제 제조사와 유통사는 2019년 가습기 살균제 청문회때만 고개를 숙이고, 어떤 개인적 사과도 없다. 이를 팔도록 허용한 정부도, 기업도 모두 책임을 회피한다”고 비판했다.

대구에 거주하는 피해당사자 김모(60) 씨는 “2년 전 산소호흡기를 끼고 있다가 숨을 못 쉬어서 실신을 했다. 구급차를 타고 서울 신촌 세브란스에 가서 2개월 대기하고 있다가 뇌사자의 폐를 이식했다”며 “면역억제제를 평생 먹어야 하고, 먹는 약이 20가지 정도 된다. 지금도 주기적으로 병원에 간다. 걷는 것 외에 몸에 무리가 가는 어떤 운동도 하지 못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피해 규모 조사 역시 미흡했다고 지적한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대구시 피해신고자는 342명에 불과하다. 대구시 가습기 살균제 제품 사용자는 42만 3,344명이고, 건강피해 경험자는 4만 5,094명이다. 이중 병원치료 경험자는 3만 7,254명”이라며 “피해자 규모가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이유는 정부와 가습기 살균제 판매 기업들이 피해자를 찾는 노력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사건이 밝혀진 지 10년이 되었지만, 문제 파악과 재발방지 대책이 여전히 마무리되지 못했다”고 규탄했다.

이들 단체는 전국을 순회하며 가습기살균제 참사 지자체별 피해조사를 발표하고, 피해 신고를 촉구할 계획이다. 피해상담은 환경보건시민센터(☎02-741-2700), 피해신고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1833-9085)로 하면 된다.

▲문제가 된 가습기살균제 제품들. 해당 제품 사용에 따른 피해가 의심되면 환경보건시민센터에 피해상담을 하거나, 환국환경산업연구원에 피해신고 접수를 하면된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