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듯 같은 역사] 1711년, 경상도의 규례

14:05

폭염이 스스로의 열기를 자랑하는 시기, 1711년인들 이 더위와의 싸움이 쉬웠을까 싶다. 아무리 여름이 더워야 제맛이라고는 하지만, 몸으로 더위와 직접 부딪쳐야 하는 사람들에게까지 할 말은 아니다. 그나마 그늘 밑 평상에 앉아 막걸리 한 잔에 부채질이라도 할 수 있는 사람들 입에서나 나올 수 있는 한가한 말이 아닐까 싶다. 경상도 상주 출신의 젊은 권상일權相一(1679~1759)에게도 1711년 여름은 ‘더워서 제맛일 수’ 없는 시기였다. 그 이전에야 평생 몸으로 움직이면서 여름과 직접 부딪칠 일이 없었지만, 1711년은 그렇지 않았다.

1710년 권상일의 문과합격은 권상일 개인의 영광이면서 동시에 영남의 희망이었다. 1680년 영남남인이 대규모로 중앙정계에서 축출된 후 더 이상 영남남인의 이름으로 중앙정계 진출이 불가능해진 지 30여 년이 흘렀다. 권상일의 합격 역시 기호노론들의 득세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고, 그의 합격 역시 개인 권상일의 이름으로 합격한 것이지 영남남인에게 주어진 영광은 아니었다. 그나마 이렇게라도 중앙정계에 진출하는 영남 인재들이 있어서, 영남은 희망의 불씨를 계속 살릴 수 있었다. 그러나 기호노론의 득세 속으로 들어가는 그의 관직 생활이 그리 쉽지 않으리라는 예상은 누구나 할 수 있었다.

외교문서를 다루는 승문원은 대부분의 젊고 똑똑한 과거 합격자들이 초임 관직을 시작하는 곳이다. 시보에 해당하는 권지 생활 대부분을 승문원에서 보내면서, 문서 수발 및 공문 회람, 외교문안 검토 등을 맡았다. 그런데 이게 초임 관리들에게는 참으로 만만치 않은 일이었다. 승문원은 정승들이 ‘제조’라는 직함을 가지고 겸직하는 조직이었다. 영의정은 도제조, 좌의정은 제조, 우의정은 부제조의 직함을 가지고 조직을 운영했다. 국가 외교 문건을 주로 다루다 보니, 왕 아래 최종 결정권자들에 해당하는 정승들이 그 운영을 맡았다. 승문원 권지는 이들에게 문건이나 공문을 회람하고, 의견을 들어 문건을 수정‧완성하고, 이를 확인받는 게 일이었다. 그런데 이들이 겸직 수장들이다보니 승문원에 모여 근무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이들에게 문건을 돌리는 것 자체가 고역이었다.

권상일은 원래 건강 체질이 아니었다. 그런 그에게 가장 큰 고역은 음력 6월의 내뿜는 폭염이었다. 하루에 몇 번씩이고 영의정 근무처에서 좌의정과 우의정 근무처로, 그곳이 비어 있으면 그들이 있을만한 장소와 집을 찾아다녔다. 하루에 16곳을 들렸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문건을 들고 하루 종일 길에서 헤맨 적이 많았던 듯하다. 게다가 관직에 입문하는 권지 생활 1개월 차이면, 아침‧저녁으로 신입 관료 신고식에 시달렸을 가능성도 높았다. 새벽 3~4시경부터 온갖 육체적‧정신적 괴롭힘을 당하는 게 일과처럼 이루어졌을 것이다. 건강한 사람이라도 이 시기는 버티기 힘든 나날들이었다.

승문원 근무 한 달 만에 권상일은 결국 건강을 이유로 휴가를 청할 수밖에 없었다. 권상일을 보는 모든 사람이 말렸고, 이 혹서기에 자신을 대신해 문서를 수발해야 할 동료들을 생각하면 미안한 일이기도 했다. 그러나 건강에 빨간불이 켜진 권상일로서는 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다행히 휴가는 받아들여졌고, 고향 상주로 출발할 준비를 서둘렀다. 그런데 하급 관료는 휴가를 받아도 문제였다. 짐도 있고 해서 말이 필요했지만, 공무가 아닌지라 공적으로 역원을 이용할 수도 없었다. 행여 돌아가는 인편이 있는지 살펴보았지만, 때가 때인지라 그도 구하기 어려웠다. 그렇다고 건강하지 못한 몸을 이끌고 무작정 고향을 향해 걸을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우선 서울에서 머물러 지냈던 성균관 인근의 여러 친구들에게 편지를 보내 안부를 묻고 부탁을 해 보았지만 쉬 해결되지 않았다. 그러던 차에 의도치 않은 도움의 손길이 나왔다. 만경현령이었던 도영성都永成이 약간의 종이와 어물을 보내왔던 것이다. 그는 경상도 성주 출신으로, 영남출신으로는 많지 않은 기호노론 계열 사람이었다. 학맥도 다르고 당파도 달라, 서로 얼굴을 볼일도 없었고 실제 잘 알지도 못했다. 도영성 역시 권상일을 잘 알아서 선물을 보낸 것도 아니었다. 같은 경상도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 이제 갓 관직 생활을 하는 권상일이 안타까워 보낸 선물이었다. ‘경상도의 규례’에 따른 행동이었다.

당시 기호노론의 세상으로 바뀌면서, 한양에서 경상도 출신 관원은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학맥과 정치적 입장이 달라도 같은 경상도 출신으로 객지에서 벼슬살이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에게 안부를 묻고 도움을 주는 게 경상도의 규례였다. 같은 고향을 뒤로 한 채 먼 타향에서 함께 관료생활을 하는 사람들을 챙기고 도와주는 것이 서울에서 살아가는 그들만의 관직 생활 방법이었다. 관직 생활을 시작 후 첫 휴가인 만큼 종이는 노자로, 그리고 어물은 선물로 사용하라는 도영성의 배려였다. 평소 퇴계학 기반의 영남남인에 대해 강한 오령吾嶺의식(‘우리 영남’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던 영남남인에 대한 강한 연대감의 표시)을 갖고 있었던 권상일로서는 영남남인을 넘어 영남출신 전체에 대해 오령의식을 갖게 되는 순간이었다.

아무리 학문적 입장이 다르고 그에 따라 당쟁이 심화되어도, 사람이 사는 곳에는 사람 냄새가 나야 하는 법이다. 당시 영남남인의 부흥을 자신의 임무로 여겼던 권상일 역시 도영성의 그 선물 앞에서 감격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후 그 역시 당파를 넘어 영남 출신들을 챙기고 도와주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물론 이 기록은 읽기에 따라 지연을 두둔하는 것일 수도 있고, 실제 한 걸음만 더 나가면 고약한 연고주의에 닿을 수도 있다. 그러나 당쟁이 격했던 시기, 그 속에서도 당파를 넘어 동향 사람들의 어려움을 돌아봤던 ‘경상도의 규례’가 아직까지는 사람 사는 냄새로 읽히는 것도 사실이다. 2021년은 당파싸움으로 얼룩졌던 숙종대 만큼이나 강한 이념의 시대이다. 그러나 이념으로 인해 사람 사는 냄새마저 맡기 어려워진 게 그 당시와 다른 2021년만의 모습이라고 말하면, 틀린 말은 아니지 않을까?

이상호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다른 듯, 같은 역사>는 달라진 시대를 전제하고, 한꺼풀 그들의 삶 속으로 더 들어가서 만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사람의 삶은 참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네”라는 생각을 기록을 통해 확인하는 시간으로 기획된 것이다. 이 원문은 일기류 기록자료를 가공하여 창작 소재로 제공하는 한국국학진흥원의 ‘스토리 테파마크(http://story.ugyo.net)’에서 제공하는 소재들을 재해석한 것으로,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은 우리의 현실들을 확인해 보려 한다. 특히 날짜가 명시적으로 제시된 일기류를 활용하는 만큼, 음력으로 칼럼이 나가는 시기의 기록을 통해 역사의 현장 속으로 들어가 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