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한테 ‘보드랍게’ 이야기하는 사람이 없었어”

19일 대구에서 영화 <보드랍게> 시사회
이용수 씨, 정영애 여성부장관, 강은희 대구교육감도 참석

09:47
Voiced by Amazon Polly

영화 <보드랍게>는 영화 귀향(2016), 아이캔스피크(2017), 허스토리(2018), 김복동(2019)의 계보를 잇는 일본군 ‘위안부’를 다룬 영화다. 차이가 있다면 앞의 작품이 피해 당시를 집중한다면 <보드랍게>는 그 이후의 삶에 주목한다.

19일 대구 중구 만경관에서 열린 시사회에서 박문칠 감독은 “기존의 위안부를 다룬 영화들은 위안소 생활에 초점을 맞췄다”며 “(김순악 씨가) 해방 이후 한국에 돌아와서 수십 년간 폭력에 노출되고 받은 상처들, 말 하지 못하고 힘들게 산 긴 세월이 있더라. 그냥 묻혀선 안 될 것 같았다”고 말했다.

시사회에는 같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여성인권운동가인 이용수(93) 씨를 비롯한 정영애 여성부장관과 강은희 대구교육감를 비롯해 영화제작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영화는 오는 23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 19일 대구 만경관에서 진행된 영화 <보드랍게> 시사회에 참석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자 여성인권운동가 이용수(왼쪽에서 네번째) 씨 모습. 정영애 여성부장관(이용수 씨 왼쪽)과 강은희 대구교육감, 박문칠 감독, 서혁수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 대표 등도 함께 했다.

1928년 음력 4월 경북 경산에서 태어난 김순악 씨는 대구의 실 푸는 공장에 취직하는 줄 알았다가 만주 일본군 ‘위안부’로 가게됐다. 김 씨가 남긴 구술 기록에 의하면, ‘주말에는 화장실 줄 선 것 마냥 위안소 밖까지 줄지어 서있던 일본 군인’들은 몸과 마음을 아프게 했다. 그렇지만 영화는 일제강점기, 전쟁, 분단처럼 파도 같은 역사 앞에서 고군분투한 순악 씨의 해방 이후 삶에 집중한다.

김순옥, 왈패, 마츠다케, 데루쿄, 요시코, 사다쿄, 위안부, 미친개, 식모, 깡패할매, 술쟁이, 기생, 마마상, 엄마, 할매, 개잡년, 김순악, 순악씨…   

김 씨가 생전 불린 18개의 이름이 영화 처음과 마지막에 낭독된다. 박 감독은 “위안부 피해자일 뿐 아니라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갔음을 보여주고 싶었다”면서 “영화에 참여한 다양한 여성들의 목소리로 그 분(김순악)이 살면서 들었을 여러 이름을 부르는 장면을 만들게 됐다”고 설명했다.

해방 이후, 서울역에서 노숙생활을 하던 김순악 씨는 누군가 국밥을 사주며 데려간 소개소를 통해 ‘유곽’으로 가게 된다. 순악 씨는 “내가 알아가지고 팔려 들어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당시 여성의 정조에 대한 인식과 가부장적인 사회분위기 속에서 ‘버린 몸’인데다, 배운 것도 없는 그에게 선택지는 없었다. 영화 출연진 중 누군가는 이 같은 상황을 “전시 상황 속에서 여성의 성폭력이 당시의 일로 끝나지 않고, 이후에도 2, 3차 가해로 이어진다”고 지적한다.

자신을 알아보는 사람이 있을까 고향을 피해 전라도 여수에서 식당 주방일을 하던 순악 씨는 그곳에서 만난 사람과 첫 아이를 갖게된다. 당시 여수·순천사건으로 상황이 여의치 않자, 만삭의 몸으로 그때서야 고향으로 돌아온다. 그는 가족들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어린 아이를 맡기고, 서울로 올라와 미군 인근 ‘기지촌’에서 물건 장사와 색시 장사(여자들을 두고 술이나 몸을 팔게 해서 돈을 버는 일)를 하게됐다. 기지촌은 장병들의 여흥이 필요하다는 미군 측과 외화를 벌어야 하는 우리 정부의 이해 관계가 맞아 떨어져 육성됐다. 당시 주한미군 기지촌 여성들이 미군 전용 홀에서 벌어들인 외화만 당시(1964년) 전체 외화 수입의 10%에 달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 故 김순악(1928~2010) 씨 모습 (출처= ㈜인디플러그)

김순악 씨가 삶의 굴곡에서 다친 마음은 사람과 세상을 향해 ‘가시’를 세우고 살아가게 했다.

말하자면 아가씨나 머슴애나 어린애나 내 눈에 뵈기 싫어. 그렇게 사람을 안 만나고 싶다카이…내 얘기하면 ‘하이고, 참 애먹었다’ 이렇게 보드랍게 얘기하는 사람이 없어.

김순악 씨는 16살 일본군 ‘위안부’였을 때는 마츠다케, 데루쿄, 요시코로 불렸다가 해방 이후는 기생, 기지촌에선 마마상으로, 괴팍한 할머니로 사람들에게 마음을 열지 못한 그는 깡패 할매나 술쟁이도 됐다가 그랬다. 누구 하나 자신에게 보드랍게 말해주는 사람이 없었다던 순악 씨는 다른 위안부 피해자들이 세상에 나와 목소리를 내는 것을 보고 용기를 얻는다. 생전 김 씨는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인정받은 통지서를 액자에 걸어 놓기도 했다. 김 씨는 왜 액자에 걸어뒀냐는 시민모임 활동가의 물음에 “나라에서 나를 피해자로 인정해준 것”이라며 “내 잘못아니라고 이야기 해준 것”이라고 했다.

‘꽃을 좋아하지만 한 번도 받아보지 못했다’던 김 씨는 원예치료 수업을 통해 숨겨둔 손재주를 발휘하기도 한다. 김 씨는 눌린 꽃을 하나씩 붙여 만드는 압화 작품에 집중하기도 하는데, 전쟁 등 역사의 굴곡을 겪은 그가 ‘평화’라는 글자를 꽃으로 만드는 모습은 뭉클하기도 하다. 김 씨는 자신이 만든 작품에 꾹꾹 눌러 자기 이름도 적었다. 활동가들은 “모임이 있을 때면 택시를 잡아타고 (경산에서)대구까지 오셨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글을 모르셔서 버스를 타기 힘든 거였다”고 했다.

▲ 전쟁을 겪은 세대인 김순악 씨가 ‘평화’를 염원하며 만든 작품 (출처= ㈜인디플러그)

영화는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에서 가지고 있던 김순악 씨 자료를 바탕으로, ‘미투’ 운동 당사자들의 목소리로, 애니매이션 등을 이용해 순악 씨의 삶을 입체적으로 재현한다. 박 감독은 “김순악이라는 한 개인의 문제보다 그 시대를 살았던 수많은 여성 중 하나라는 느낌을 주고 싶었다”면서 “우리는 그분 마음을 100%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자료를 토대로 열심히 이해하려는 생각으로 작품에 임했다”고 전했다.

2010년 김 씨가 세상을 떠나며 “내가 죽어도 나를 잊지말아 달라”면서 자신의 유산 5,000여만 원을 위안부 역사관 건립을 위해 내놓았다. 나머지 유산 5,000만 원은 소녀소년 가장의 몫으로 기부했다. ‘식모살이’와 위안부 피해자로 정부 보조금 등으로 받은 것을 아껴 평생 모은 돈이었다. 김 씨의 기부금에 시민 모금 등을 더해 건립된 위안부 역사관은 ‘희움’이라는 이름으로 2015년 대구 중구에 문을 열었다.

박문칠 감독은 “영화를 만들면서 그분께서 저에게도 많은 위로를 주셨다”며 “너무 소중한 만남이었고, 이런 만남을 가능하게 해주신 대구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계신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에 감사드린다. 많은 분들께서 김순악 할머니의 매력에 함께 빠져볼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 영화 <보드랍게> 포스트 (출처=㈜인디플러그)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