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반려동물 공공 공간 앞다퉈 만드는데···대구는?

'펫프랜들리' 경기도는 관련 자치법규, 공공 공간 가장 많아

19:25
Voiced by Amazon Polly

반려동물 양육인구 증가에 따른 반려동물 공공 공간 수요는 늘어나지만, 대구는 지역 공공형 반려동물 공간 조성에 소홀한 것으로 보인다. 반려동물 공공 공간은 경기도가 가장 많고 대구는 군위군을 포함해 2곳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건축공간연구원은 최근 ‘반려동물 양육인구 증가에 따른 공공 공간 조성 현황과 이슈’ 연구보고서를 내고, 전국 반려동물 공공 공간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했다. 보고서는 반려동물 중 반려견을 대상으로 한 공공 공간을 중심으로 살폈다.

연구원은 반려동물 양육인구 증가로 공공 공간 수요가 커지고 있다고 파악했다. 보고서는 “반려동물 양육가구가 우리나라 전체 가구수 2,092만 7,000가구 중 15%에 해당하는 312만 8,000가구(통계청 2020 인구주택총조사)다. 이중 도시지역(동 단위)에 속한 가구가 232만 1,000가구로 75%를 차지해 도시 지역에 반려동물 및 보유가구가 집중되어 있다”고 짚었다

이어 “애견카페와 반려견 동반호텔, 펫파크, 펫프렌들리 인테리어 등 민간 분야도 확장되고 있지만, 반려동물 양육인구와 반려동물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근린환경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며 “반려동물 공공 공간이 증가하고, 공간 유형도 다양화되는 추세지만 시설 설치에 관한 법적 규제나 대상지 마련, 반려동물의 행태 고려가 없는 공간 조성 문제도 있다”고 분석했다.

▲ 대구 달서구 장동에 이달 시범 운영을 시작하는 반려견 놀이터

반려동물 공공 공간은 2012년 처음 조성되기 시작해 2018년부터는 매년 두 자리 수로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반려동물 공공 공간은 공간 유형에 따라 기존 공원 내 격리구역으로 조성된 반려동물 놀이터와 반려동물 전용 공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모두 야외활동 빈도와 체류시간이 많고, 반려동물 비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개가 주요 대상이다.

2023년 기준 반려동물 관련 자치법규는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성격의 조례와 특정 시설 유형에 관한 조례로 구분되는데, 경기도가 광역지자체 가운데 가장 많았다. 경기도는 공간 조성 현황도 가장 많은데 39곳에 달했다.

서울이 22곳으로 그 뒤를 잇고, 경남 8곳, 경북 6곳, 부산·인천·전남·충북·충남 각 5곳, 울산 4곳으로 나타났다. 대구는 대전, 광주와 함께 2곳에 불과해 가장 적은 그룹에 속했다. 제주와 세종은 반려동물 공공 공간이 없었다.

해당 보고서에는 대구 남구 캠핑장 내 반려견 부대 시설과 이달 시범 운영을 시작하는 달서구 소재 반려견 놀이터 2곳을 관련 시설로 분류했다.

전국적 공간 데이터 구축과 모니터링도 촉구
보고서 “반려동물 가족 수용 문화 확산···일상적 공간 확대 필요”

보고서는 호주 남호주 주, 캐나다 토론토 시, 일본 도쿄도 미나토 구 등을 국외 반려동물 법 제도와 가이드라인 사례분석, 그리고 국내 반려동물 공공 공간 123개소 현황을 통한 개선점도 제시했다. 이들은 “반려동물 공공 공간 설계 과정에서 서울시를 제외하고는 설계 지침이 부재하고, 조성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행동 양식과 이용 및 관리 편의를 고려하지 못한 채 도입되고 있다. 반려견 놀이터가 일정 규모를 충족하지 못해 동물 체고별 공간 구분에 한계가 있고 이용 쾌적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고 파악했다.

또 “대부분 공간이 직영으로 운영되지만, 일부 민간위탁 사례도 있다. 이용자의 펫티켓 부족과 물림 사고 등 운영 노하우가 부족해 공무원들의 실무적 애로 사항이 많다”며 “반려동물 행동 전문가와 수의사, 조경설계 등 다양한 유관 분야 전문가 참여를 추진하는 가이드 마련이 필요하다. 이용자의 혼란을 막는 공통적인 운영수칙 마련”도 주문했다.

특히 보고서는 전국적인 반려동물 공공 공간 데이터 구축 및 모니터링도 촉구했다. 보고서는 “현재 국토교통부 관련 시설 정보는 데이터가 수도권에 국한되어 있고, 제한적”이라며 “국가 차원에서 반려동물 관련 법제도, 행정조직, 법정 계획 등 관련 공공 공간의 정책적 기반이 미약하다. 이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조성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공간 현황 데이터를 기초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동물을 가족으로 수용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어 동물의 생리를 고려한 근린환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반려견 놀이터, 반려동물공원 등 별도 공간을 구축하는 방식 외에 일반적 근린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소규모 시설물 도입 확대도 필요하다”고도 덧붙였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