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뉴스민에 ‘기사 삭제’ 요구 전화가 왔다. 경북 지역 유기동물보호소 현황을 다룬 기사로 인해 해당 유기동물보호소에 유기가 늘었다는 이유였다. 정말 기사의 영향으로 유기가 늘었을까? 기사를 삭제하면 유기동물보호소에 동물을 유기하는 일이 사라질까?
삭제 요청을 받은 기사는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2021년 부터 2024년(1~10월)까지 약 4년간 경북 22개 기초지자체 유기동물보호소의 입소, 입양, 자연사, 안락사 등 관리 실태를 살핀 결과물이다. 기사 요지는 유기동물보호소의 수용 한계를 늘리고, 보호소 안에서의 죽음을 줄여 나가야 한다는 거였다. 더 많은 유기동물에게 ‘죽음’ 대신 ‘새 가족’을 찾을 수 있는 시간적·물리적 환경 개선이 보호소에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삭제를 요구해 온 유기동물보호소를 관리하는 지자체 공무원에게 보호소 입장을 담을 수 있는 추가 기사를 쓰자고 제안했다. 유기동물보호소 운영에 대한 고충을 담고, 유기동물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사람들을 함께 설득해보자고 했다. 더불어 제도적인 제안도 가능하다면,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도 줄 수 있지 않을까 했다. 그러나 해당 지자체와 보호소 측은 제안을 거절했다.
정보공개청구와 공무원 등 관계자 취재를 통해 해당 보호소는 최근 몇 년 간 안락사를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했지만, 언제까지 그것이 가능할지는 알 수 없다. 보호소는 법정 공고 기간 10일 후 안락사가 가능하고, 보호공간 문제로 ‘밀어내기’ 식으로 안락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대부분 보호소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해당 보호소 역시 보호 공간이 포화 상태가 되면 안락사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대부분 보호소는 사실상 ‘안락사 대기소’나 마찬가지고, 안락사가 이뤄지기까지 시간적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래서 반려동물 커뮤니티에는 유기동물을 발견했다는 게시글에 ‘제발 보호소에는 보내지 말라’는 댓글이 수도 없이 달린다.
넘쳐나는 유기동물, 포화 상태의 보호소 문제는 어쩌다 발생한 문제나 특정 보호소만의 일이 아니다. 모든 보호소가 겪고 있는 공통된 문제로 지속되어 왔던 상황이다. 해당 기사를 통해서 확인한 상황도 그랬다. 상황이 이런데 넘쳐 나는 유기동물을 줄이기 위한 지자체와 정부의 고민은 어디까지 와 있을까. 생명을 생명답게 대할 수 있는 사회를 위한 더 치열한 고민과 목소리가 모여야 한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