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우 정의당 대표, “창당 후 가장 어려운 시기···앞으로의 세계관 정립이 중요”

09:07
Voiced by Amazon Polly

정의당이 4.10 총선에서 1석도 얻지 못해 22대 국회에서 원외정당이 됐다. 2004년 민주노동당이 10석을 획득해 국회에 입성한 것을 기준으로 20년 만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진보정치의 몰락’이라고도 말한다. 27일 대구에 온 김준우 정의당 대표는 “창당 이후 가장 어려운 시기”라고 냉정히 평가하면서 “앞으로의 세계관 업데이트가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7일 오후 뉴스민과 사회정치포럼 ‘너머’, FLAT_PLACE, RedStone이 공동 주최·주관하는 ‘시대유감-공화국의 위기’ 5강은 ‘정의당의 몰락과 진보정치의 쇠퇴’를 주제로 진행됐다. 연사로는 김준우 정의당 대표와 채장수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나섰다.

▲27일 오후 7시 ‘시대유감-공화국의 위기’ 5강이 ‘정의당의 몰락과 진보정치의 쇠퇴’를 주제로 진행됐다.

포럼은 사면초가, 반구저기, 과하지욕, 권토중래 네 개의 챕터로 두 시간 동안 진행됐다. 정의당의 22대 총선 결과를 되짚고 현 상황을 분석하는 걸로 시작해 진보당, 기본소득당 등 정의당과 다른 전략을 선택한 정당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의 과제까지 나눴다.

가장 먼저 정의당의 22대 총선 결과에 대해 김 대표는 “창당 이후 가장 어려운 시기이자 기존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시작할 수밖에 없는 시점”이라고, 채 교수는 “대부분의 무관심, 나머지의 조롱, 예측했지만 막지 못한 추락”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선거로 정의당뿐만 아니라 진보정치가 몰락했다는 의견에 대한 생각을 묻자 채 교수는 “그에 앞서 ‘진보정당의 폭이 어디까지냐’를 물을 수밖에 없다. 언론에서 말할 땐 진보가 민주당이지만, 정의당을 말할 때는 기준이 또 달라진다. 대중들이 이해가지 않는 지점이 있다. 개념이 주는 표상을 통해 투표하는데, 개념이 오버랩되는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채 교수의 지적을 이어 받아 “진보정치, 진보정당의 역할이 이번 선거로 축소된 건 맞다. 진보의 개념에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교수님의 지적에 대해선 ‘여전히 우리가 2004년 즈음의 세계관에서 벗어나지 못한 걸까’란 질문을 던져 본다. 중도를 표방하던 민주당이 촛불 이후 진보정당이라고 참칭‧자처하게 된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준우 정의당 대표는 “창당 이후 가장 어려운 시기이자 기존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시작할 수 밖에 없는 시점”이라고 22대 총선 결과를 평가했다.

정의당과 다른 전략을 선택한 다른 진보정당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자 채 교수는 “많은 정당이 생겼다가 사라진 게 진보 진영에 대한 무관심을 불러온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장기적으론 제도권 내에서 활동을 목표로 하는 진보정당의 구도가 명확해졌으면 좋겠다”며 “그런 의미에서 연합정당 성공은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나름의 성과를 낸 정당은 다음 선거에서도 경로의존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오히려 장기적으론 민주당과 연합을 목표로 해서 민주당 좌파로서의 입지를 굳혀나간다면 민주당도, 진보진영의 공간에도 좋지 않을까”라고 봤다.

김 대표는 “독자 돌파 가능성이 없어서 선택했다고 본다. 힐난할 문제는 아니다. 다만 우린 혼자라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라며 “객관적 차이가 판단의 차이를 낳았다. 정당이 의석을 얻기 위해 유리한 선택을 하는 걸 예전의 운동적 관점으로 판단하는 건 맞지 않다. 다만 2012년 통합진보당이 13석을 얻었지만 2016년 정의당은 민주당과 야권연대를 하지 않고도 자력으로 비례대표 4석을 얻었다. 지금 다른 선택을 한 진보정당들이 4년 후 독립적으로 돌파할 역량을 길렀는지를 두고 대중이 냉정하게 판단할 것”이라고 전했다.

▲채장수 교수는 22대 총선 결과를 두고 “대부분의 무관심, 나머지의 조롱, 예측했지만 막지 못한 추락”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진보정당의 연합 가능성에 대해 채 교수는 “민주노동당이라는 예외적인, 성공할 수 없는 사례에 기준점을 둘 필요는 없다. 이제는 진보의 탈노동화가 필요할 것 같다. 노동을 배제하자는 게 아니다. 노동중심적인 연대, 동질성의 연대보다는 타자와의 연대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진보정당의 재구성을 위한 중요한 계기도 될 것”이라고 답했다.

김 대표는 “정의당이 만들 나라가 메인 콘텐츠가 되어야 하는데, 민주당과의 관계 문제가 과잉됐다. 앞으로는 세계관의 업데이트가 중요할 것이다. 좋은 내용과 배우, ‘착하게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만으론 더 이상 울림이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김 대표는 진보정당에서 나와야 할 정치인의 표상으로 “언론에서 말을 잘했던 노회찬 의원이나 금속노조의 심상정 의원이 갖던 의미뿐 아니라 현실 정치 속에서 본인들이 성과를 내고 국민들로부터 각인받는 정치인들이 가진 의미가 있다. 앞으론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 낼 수 있을까가 주요 과제”라고 전했다.

채 교수는 원외정당이 된 정의당의 역할로 “소수자, 원외정당이기 때문에 잘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정의당이 실패한 원인은 민주당과 제휴를 못 해서가 아니다. 자체 콘텐츠를 대중에게 물화시킬 수 있는 이미지가 없었다”며 “오히려 가장 낮은 차원에서 생각을 정리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날 포럼 진행은 뉴스민 천용길 대표가 맡았다. ‘시대유감-공화국의 위기’ 시리즈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위기, 갈등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기획됐다. 뉴스민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다시 볼 수 있다.

김보현 기자
bh@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