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생활지원 자원한 시민들…대구사회서비스원, 긴급돌봄 제공

중증장애인, 노인 등 재난 상황 긴급돌봄서비스 지원 나서

10:25

대구에서 코로나19 확진자 5천 명을 넘어서고 있다. 특히 노인, 유아, 장애인 등 소외 계층에 대한 정부 당국의 의료·생활 지원 체계의 빈틈도 확인됐다. 대구사회서비스원은 긴급돌봄서비스 제공에 나섰고, 여러 지역에서 생활지원에 힘을 보태려는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다.

2월 자립생활 중증장애인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정부는 돌봄서비스가 필요한 중증장애인 감염 시 특별한 대책이 없었다. 장애인 활동지원사에게 감염 위험을 강요할 수 없었다. 그렇다면 중증장애인에게 생활지원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지 문제로 남았다. 장애인단체는 활동가가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장애인과 함께 격리되는 방법을 택했다. 장애인 확진자·자가격리자가 지속해서 추가 발생하면서 민간단체가 이를 감당할 수 없었다.

사회서비스원은 돌봄서비스 공백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긴급돌봄서비스를 시작했다. 긴급돌봄서비스는 코로나19 확진자·자가격리자 중 장애인이나 고령으로 인해 치료 외에 생활지원이 필요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기존 요양보호사나 활동지원사 등이 자가격리 되면서 생활지원이 필요한 사람도 대상이다. 확진자나 자가격리자를 돕는 생활지원인은 본인도 코로나19 감염될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12일 긴급돌봄서비스 사업의 생활지원인력에 지원한 시민들이 대구사회서비스원을 찾았다. 대구는 물론, 서울, 경기도, 충청도 등 지역에서 온 다양한 연령대다. 코로나19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이도 있고, 재난 상황 극복에 힘을 보태려는 이도 있다. 6일 71명 면접 후 44명이 선정돼 현장에 배치됐고, 12일도 추가 면접이 진행됐다.

▲12일, 대구사회서비스원의 긴급돌봄서비스사업에 지원한 시민들이 면접을 보러 왔다.

지원자들은 모두 감염 우려에도 자원했다. 이날 면접 본 나윤권(53) 씨는 “코로나19 감염에 우려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치사율이 높지 않다. 요양보호사 교육을 받았는데 지금 나도 할 수 있는 역할이 있을 것 같아 지원했다”라고 말했고, 이만순(66) 씨는 “요양사 공부를 하고 있다. 이번에 경험도 쌓고, 환자도 돕고 싶다. 감염 걱정이 되긴 하지만, 위생 관리를 더 철저히 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자영업자 이순영(48) 씨도 마찬가지다. 생활지원인으로 활동하는 이 씨는, 자가격리 중이거나 기존 요양보호사 등이 격리되면서 돌봄을 받지 못하는 시민들에게 도시락을 전달하고 있다.

이순영 씨는 “처음에는 감염이 무서웠다. 지금도 부모님에게 알리지 않았다. 지금 대구시민은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없는 상태다. 옳은 일을 하겠다기보다 해야 하는 일을 동물적으로 하는 마음이다”라며 “병원 후원도 좋지만, 정말로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도 후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영화 대구사회서비스원 대표는 지원자들의 헌신을 긴급돌봄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긴급돌봄서비스 필요성이 확인된 만큼 사회서비스원이 복지 공백 해소를 위한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영화 대구사회서비스원 대표이사

김영화 대표는 “사회서비스원 설립 후 종합재가센터를 시도했는데, 민간에서 큰 반발이 있었다. 이후 관도, 민간도 케어하지 못하는 부분을 고민했다”라며 “장애인 자립생활 증가, 고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행정 공백이 있다. 이 부분을 메꾸기 위한 긴급돌봄서비스를 구상했던 과정이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사회서비스원 조직 설립 대한 법제화도 되지 않아 제도적 바탕은 없지만, 코로나19 상황에서 관보다 좀 더 유연한 사회서비스원이 이 고민을 바탕으로 먼저 치고 나갈 수 있었다”라며 “이번 사태에서 긴급돌봄서비스체계 구축, 상시적 긴급의료체계 구축 필요성 등이 확인된 만큼 앞으로 재난 상황이 다시 오더라도 적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대구사회서비스원은 지난해 3월 대구시가 설립한 공익법인으로 국공립 시설을 위탁받아 운영하고, 서비스 종사자를 직접고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