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iced by Amazon Polly

[편집자주] ‘롭다’는 ‘그러함’ 또는 ‘그럴만함’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기후+롭다’는 기후위기 시대에 기후위기 대응을 고민하며, 기후위기 시대를 대비한다는 의미를 담아 뉴스민이 고안한 말이다.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5℃ 상승하는데 남은 시간은 5년 남짓, 이번에 선출되는 22대 국회는 그 5년 중 4년을 쓰는 국회다. 그동안 우리 국회가 기후위기 대응에 무관심하고 무능했다는 걸 고려하면, 이들에게 주어진 4년이란 시간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시간이다. 뉴스민은 22대 국회는 기후국회가 되어야 한다는 대원칙 아래 ‘기후로운 투표생활’ 기획보도를 시작한다.

[뻘건맛 시즌3] 기후로운 투표생활 시작합니다 (‘24.3.6)
[기후로운 투표생활] ① 2.1%, 21대 국회의 한계 (‘24.3.6)
[기후로운 투표생활] ② 기후로운투표생활위원회, “22대 총선 키워드는 기후국회”(‘24.3.6)
[기후로운 투표생활] ③ 지속가능 농·어업 고민 않는 국회(‘24.3.8)
[기후로운 투표생활] ④ 재난에 떠밀려 땜질하는 국회(‘24.3.11)
[기후로운 투표생활] ⑤ ‘탈탄소’ 보다 ‘저탄소’에 머문 국회(‘24.3.13)
[기후로운 투표생활] ⑥ 전국 사과 생산 1위, 경북의 한숨···“기후가 위기” (‘24.3.21)
[기후로운 투표생활] ⑦ 재생에너지 확충, ‘채찍질’ 망설인 국회 (‘24.3.28)
[기후로운 투표생활] ⑧ 탄소배출 악순환, 오늘은 오징어, 돌고 돌아 내게로(‘24.3.29)
[기후로운 투표생활] ⑨ 정당별 기후위기 공약···재생에너지 목표부터 차이 (‘24.3.29)
[기후로운 투표생활] ⑩ 대구·경북 후보 74명 중 21명만 기후위기 공약 (‘24.4.2)
[기후로운 투표생활] ⑪ 면세유만으로 그릴 수 없는 농업의 미래 (‘24.4.3)
[기후로운 투표생활] ⑫ 기후위기 정책 질의도 대구·경북 74명 중 20명만 답 (‘24.4.4)
[기후로운 투표생활] ⑬ 태풍 힌남노의 재난은 여전히 진행중 (‘24.4.4)
[기후로운 투표생활] ⑭ 국회는 언제까지 농어업재해보험만 손질할까 (‘24.4.5)
[기후로운 투표생활] ⑮ 온실가스, 포스코, 그리고 포항 (‘24.4.8)
[기후로운 투표생활] ⑯ 지속가능한 농업, 변화 더딘 국회와 마음 급한 농민들 (‘24.4.9)
[기후로운 투표생할] ⑰ 재난 없던 도시 경북 예천의 미래 (‘24.4.9)
[기후로운 투표생활] ⑱ 일상화·극단화 될 폭염, ‘대프리카’는 어쩌나 (‘24.4.10)
[기후로운 투표생활] ⑲ 국힘이 싹쓸이한 경북, 기후위기 대응 방향 깜깜 (‘24.4.11)
[기후로운 투표생활] ⑳ 기후공약 내놓은 대구 당선자들도 개발공약에 방점 (‘24.4.11)

4.10 국회의원 선거 대구 당선자 12명 가운데 4명에게 기후위기 정책이 확인되지만, 사실상 개발정책에 방점이 찍혀 아쉬움이 남는다.

10일 당선이 확정된 대구 국회의원 선거 당선자 가운데 강대식(동구·군위군을), 우재준(북구갑), 이인선(수성구을), 유영하(달서구갑) 후보의 공보물에서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저감, 재생에너지 확충을 목표로 한 공약을 확인할 수 있다.

▲강대식(동구·군위군을), 우재준(북구갑), 이인선(수성구을), 유영하(달서구갑, 이상 국민의힘) 당선자

강대식, 우재준, 이인선 당선자는 ‘기후위기 대응, 함께하는 녹색생활’이라는 큰 틀 아래, 세부 실천과제를 내세웠지만, 국민의힘이 당 차원에서 내놓은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그대로 옮겨 놓은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공약집 대부분이 사실상 개발공약에 더 방점이 찍혔다.

강대식 당선자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 및 후적지 개발과 신공항 접근 교통망 대폭 확충, 대구도시철도 순환선 지역 통과 노선 확정 및 조기 추진, 팔공산국립공원 인근 테마파크 및 복합리조트 건설 추진, 도로 건설/ 대구도시철도 4호선 조기 추진 등 개발 공약에 더 무게 중심이 실렸다.

이인선 당선자는 자신의 핵심 공약 4가지 중 첫 번째로 지산·범물지구 재개발 재건축 공약을 내세웠다. 우재준 당선자는 7대 핵심공약 가운데 5개가 개발 공약이다. ▲경북도청 후적지의 조속한 개발 ▲대구도시철도 4호선(엑스코선) 조기 착공 ▲도시정비사업 추진(규제완화 등) ▲금호워터프론트 조성사업 적극 추진 ▲대현동 재건축·재개발 등이 그렇다.

명시적으로 기후위기 공약을 내세우지는 않았지만, 환경·생태 공약이 확인되는 유영하 당선자도 마찬가지다. 유 당선자는 ‘깨끗하고 맑은 도시’ 조성을 제안하면서 소각장 내 생활쓰레기 전처리 시설로 탄소중립 실현을 언급했다.

또 ‘친환경 그린 숲 조성’을 내세웠지만, 실제 내용을 보면 ▲은행나무 숲이 우거진 갈산공원 조성 ▲도심 속 휴식공간 장기공원 개발 추진 ▲와룡산-궁산 연결 생태육교 설치 추진이 구체적 내용으로 들어가 있어 그린워싱으로 분류할 수 있는 환경 개발 공약과 도시 개발 공약이 함께 있었다.

기후로운투표생활 특별취재팀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