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iced by Amazon Polly

[편집자주] ‘롭다’는 ‘그러함’ 또는 ‘그럴만함’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다. ‘기후+롭다’는 기후위기 시대에 기후위기 대응을 고민하며, 기후위기 시대를 대비한다는 의미를 담아 뉴스민이 고안한 말이다.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1850~1900년)보다 1.5℃ 상승하는데 남은 시간은 5년 남짓, 이번에 선출되는 22대 국회는 그 5년 중 4년을 쓰는 국회다. 그동안 우리 국회가 기후위기 대응에 무관심하고 무능했다는 걸 고려하면, 이들에게 주어진 4년이란 시간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시간이다. 뉴스민은 22대 국회는 기후국회가 되어야 한다는 대원칙 아래 ‘기후로운 투표생활’ 기획보도를 시작한다.

[뻘건맛 시즌3] 기후로운 투표생활 시작합니다 (‘24.3.6)
[기후로운 투표생활] ① 2.1%, 21대 국회의 한계 (‘24.3.6)
[기후로운 투표생활] ② 기후로운투표생활위원회, “22대 총선 키워드는 기후국회”(‘24.3.6)
[기후로운 투표생활] ③ 지속가능 농·어업 고민 않는 국회(‘24.3.8)
[기후로운 투표생활] ④ 재난에 떠밀려 땜질하는 국회(‘24.3.11)
[기후로운 투표생활] ⑤ ‘탈탄소’ 보다 ‘저탄소’에 머문 국회(‘24.3.13)
[기후로운 투표생활] ⑥ 전국 사과 생산 1위, 경북의 한숨···“기후가 위기” (‘24.3.21)
[기후로운 투표생활] ⑦ 재생에너지 확충, ‘채찍질’ 망설인 국회 (‘24.3.28)
[기후로운 투표생활] ⑧ 탄소배출 악순환, 오늘은 오징어, 돌고 돌아 내게로(‘24.3.29)
[기후로운 투표생활] ⑨ 정당별 기후위기 공약···재생에너지 목표부터 차이 (‘24.3.29)
[기후로운 투표생활] ⑩ 대구·경북 후보 74명 중 21명만 기후위기 공약 (‘24.4.2)
[기후로운 투표생활] ⑪ 면세유만으로 그릴 수 없는 농업의 미래 (‘24.4.3)
[기후로운 투표생활] ⑫ 기후위기 정책 질의도 대구·경북 74명 중 20명만 답 (‘24.4.4)
[기후로운 투표생활] ⑬ 태풍 힌남노의 재난은 여전히 진행중 (‘24.4.4)
[기후로운 투표생활] ⑭ 국회는 언제까지 농어업재해보험만 손질할까 (‘24.4.5)
[기후로운 투표생활] ⑮ 온실가스, 포스코, 그리고 포항 (‘24.4.8)
[기후로운 투표생활] ⑯ 지속가능한 농업, 변화 더딘 국회와 마음 급한 농민들 (‘24.4.9)
[기후로운 투표생할] ⑰ 재난 없던 도시 경북 예천의 미래 (‘24.4.9)
[기후로운 투표생활] ⑱ 일상화·극단화 될 폭염, ‘대프리카’는 어쩌나 (‘24.4.10)

“선풍기가 2대 있는데 번갈아 켜는 용도예요. 한참 켜놓다 보면 어느순간 뜨거운 바람이 나오거든요. 그럼 과열도 걱정되고 하니까 끄고. 아예 안 켤수는 없으니까 다른 걸 그때 켜죠. 밤에 잘 때는 미리 냉동실에 얼려둔 아이스팩을 꺼내서 수건에 감싸서 양 팔과 허벅지에 싸서 대고 자요. 밤에 열대야가 심할 땐 새벽까지 지하상가나 시원한 곳에 있다가 오기도 했죠. 그러다가 어떤 날은 더위를 먹어서 응급실에 가서 수액을 맞고 온 적도 있어요.“

김현우(45) 씨가 사는 방은 대구 중구 한 오래된 여관이다. 김 씨는 디스크와 뇌경색으로 일을 하지 못하는 기초생활수급자다. 수급자에게 나오는 주거 비용으로 월세 21만 원 방세를 낸다. 지난해 여름에는 세들어 사는 방에 에어컨이 들어왔다. 대구시가 폭염 고위험군 취약계층 보호대책의 일환으로 지원한 77대 중 한 대다. 김 씨는 “에어컨만 들어와도 훨씬 나았다. 집에 돌아와서 30분 정도 돌렸다 꺼도 완전 딴세상이다. 그리고 자기 전에 30분 켰다가 끈다”며 “그런데 건물이 낡기도 했고, 전기료가 너무 많이 나오면 안 되니까 아껴서 틀었다”고 말했다.

주거 공간 외에도 도시의 폭염은 일터에서도 직면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건설 현장이 그렇다. 배진호 민주노총 대구경북 건설노조 조직국장은 “건설현장은 하나의 거대한 찜통이다. 현장 펜스 밖과 5도 정도 차이가 난다. 바람이 안 통하고 고립형태니까, 지열이 그대로 올라오고 데펴지는 구조여서 휴식 시간과 공간을 줘도 사실 별로 안 쉬고 싶다”며 “온열환자를 위해서 ‘냉동실’이라고 부르는 컨테이너에 에어컨 2개 넣어놓고 체온을 급격히 낮출수 있는 시원한 휴식공간을 두는 현장도 있다. 모든 현장이 그럴 수 있는 것이 아니라서 편차가 크다”고 설명했다.

▲ 로컬에너지랩과 녹색전환연구소 등이 참여한 ‘기후정치바람’이 전국 18세 이상 시민 1만 7,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후위기 국민 인식 설문조사’ 에서 대구 거주자들은 지난 1년 간 거주지역에서 경험한 기후재난으로 폭염(83.6%)을 주로 꼽았다.

폭염이 ‘재난’으로 명문화 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지난 2018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폭염을 자연재난으로 포함됐다.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폭염 일수는 2018년 당시 31일 기록됐다. 2017년 13.5일의 2배가 넘는다. 폭염은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의 수를 기준으로 한다.

일상에서 시민들에게 폭염은 체감이 크게 되는 재난에 속한다. 로컬에너지랩과 녹색전환연구소 등이 참여한 ‘기후정치바람’이 전국 18세 이상 시민 1만 7,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기후위기 국민 인식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1.7%가 1년 간 거주지역에서 경험한 기후재난으로 폭염을 꼽았다.

대구는 전국 평균보다 폭염을 기후재난으로 꼽은 이들의 비중이 훨씬 더 크다. 대구 거주자만 1,000명을 따로 확인해보면 응답자의 83.6%가 폭염을 자신이 경험한 기후재난으로 꼽았다. 전국 평균보다 11.9%p 더 많다. 60대 이상에서 87.4%로 가장 많은 응답자가 폭염을 꼽았고, 지역적으론 동구·수성구 응답자가 87.7%다.

일상 체감도 큰 폭염, 대구 “83.6%” 폭염 경험
30년 평균 폭염 일수 10.5일인데
2018년 폭염일수 31일 기록, ‘기후재난’ 체감 

문제는 극심한 폭염이 과거 보다 최근 더 심각해지는 경향을 띈다는 점이다. 기상청이 펴낸 ‘우리나라 109년(1912~2020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9년 동안 폭염이 가장 많이 발생한 기간은 최근 10년이다. 폭염일수는 최근 30년(1991~2020년) 대비, 최근 10년(2011~2020년)새 2.8일 증가했다.

기상청은 2019년부터 폭염 데이터를 별도 분류했지만, 확인 가능한 폭염 통계는 1973년부터다. 2023년까지 51년 동안 2018년이 폭염일수 31일로 가장 많았고, 1994년(29.6일), 2016년(22일), 2013년(16.6일), 1990년(16.4일) 순으로 확인된다. 30년 평균(1991~2020년) 폭염일수는 10.5일이다.

지역적으로 보면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를 합친 말로 대구의 더위를 표현한 말)’의 별명을 떠오르게 한다. 1973년부터 2023년(51년) 동안 ‘가장 긴 폭염(지속일수)’을 기록한 지역(기상청 측정 지점 기준)은 대구가 15회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합천이 7회였고, 경북 지역들 가운데에서는 영천(4회), 포항·의성(3회), 문경·안동·경주(2회) 등을 기록했다.

전국적으론 2018년 폭염일수 31일 최고치를 기록한 후 다시 10일 대로 떨어졌지만, 대구는 2018년 40일을 기록하고, 2019년 29일, 2020년 31일, 2021년 23일, 2022년 45일, 2023년 27일 등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적어도 10%, 많은 6배 이상 많은 폭염일수를 기록하고 있다.

▲ 2018년 폭염일수를 기록한 전국 분포도. 전국적으로 30일 이상 폭염일수가 지속된 경우가 많았다. 2018년은 기상청 데이터에서 확인 가능한 폭염일수가 가장 길었던 해다. 2018년 당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폭염을 자연재난으로 포함되기도 했다.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 발생도 늘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통해 관련 통계를 확보한 2011년에는 443명이었지만, 폭염이 기승을 부린 2018년은 4,526명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2019년 1,841명, 2020년 1,078명, 2021년 1,376명, 2022년 1,564명으로 적지 않은 환자가 발생했다.

해당 통계는 5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폭염 종합대책 운영기관 동안 전국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을 방문한 폭염으로 인한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 온열질환자 또는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를 포함한 수치다. 자발적 참여를 통해 수집된 신고 자료로 온열질환 발생 전체를 뜻하지는 않기 때문에 통계에 잡히지 않는 온열질환자는 더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지역별로 발생하는 온열질환자 현황이 농어촌 지역에 집중되는 것에 미뤄 볼 때 폭염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건 높은 기온 자체보다 생활 환경과 인프라 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구 10만 명당 온열질환자의 경우 제주(9.19명), 전남(9.07명), 충북(5.19명), 경남(5.06명), 전북(4.95명), 강원(4.8명), 경북(4.64명) 순으로 주로 농어촌 지역이 많다. 대구(1.77명), 서울(1.41명), 부산(2.08명) 등 도시 지역은 농어촌 지역보다 온열환자 발생이 적다.

더 일상화되고, 심각해질 폭염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가까운 미래에 폭염은 더 일상화되고, 더 심각해질 전망이란 걸 고려하면 지역별로 맞춤형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국립기상과학원의 ‘2022 남한상세 기후변화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이대로 기후위기 대응에 손을 놓는다면, 21세기 후반기(2081~2100년) 우리나라의 폭염일수는 최대 9배(고탄소 시나리오 SSP5-8.5)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최소 15.4일에서 최대 70.7일로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폭염이라는 기후재난에 우리사회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크게 노동과 주거, 사회적 취약 계층을 중심으로 관련 법안 마련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건설업 종사자와 택배기사 등 야외 노동자들은 현재 강제성 없는 고용노동부 폭염 가이드 라인 대신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을 통해 시행령과 시행규칙으로 제도화가 요구된다.

한인임 일과건강 사무처장은 “기후변화가 점차 심각해지고 있어서 더 논의가 필요하다. 직접 영향을 받는 직업군은 건설노동자나 택배 노동자 등 옥외노동자들이 있겠고, 물류센터 같은 경우는 창고법의 영향을 받는데 사람들이 일하는 공간이라기 보다는 물건들이 보관된 장소로 인식하기 때문에 법적으로도 사각지대”라면서 “폭염가이드 라인이 강제성이 없으니 모법을 개정해 시행령이나 시행규칙으로 제도화해 사각지대를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동시에 폭염에 취약한 지역과 계층을 살피는 법적 근거 마련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유경진 사단법인 자원봉사능력개발원 부설 쪽방상담소 간사는 취약 계층 모니터링, 단기임대 지원과 에어컨 등 폭염 물품 지원 사업 등이 현재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 간사는 “모니터링을 통해 꾸준히 현장을 살피고 치료가 필요하면 연결을 해주고, 필요한 도움을 살핀다. 그렇지만 근본적으로는 폭염에 취약하고, 에어컨 설치도 어려운 주거 환경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공공임대공간을 늘리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도시 지역보다 농어촌 지역으로 갈수록 온열질환자 발생이 높은 상황을 고려할 때, 지역적 특성 외에도 연령과 사는 곳, 직업, 사회적 네트워크 등에 따라 취약 계층은 발생할 수 있다. 이들을 위한 기후변화건강관리기본법(가칭)과 같은 인프라 개선을 위한 근거 규정 마련도 필요하다.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