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먹칠] 악의 없이 만들어진 편견의 사회에서, ’82년생 김지영’ / 박하경

09:43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 개봉한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두고 남녀 사이에 갑론을박이 심화되고 있다. 개봉 전 평점 테러부터 ‘공감 간다’는 영화 감상 후기를 남긴 여자 연예인들에게 비난 댓글을 달고,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연인들 사이에서 이 영화를 두고 논쟁을 벌이다 헤어지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쏟아진다. 이처럼 <82년생 김지영>은 작가의 처음의 의도가 뭐였든 간에 한국 사회의 남녀갈등 국면에서 일종의 ‘리트머스지’ 역할을 하게 됐다. 출산 후 직장을 나와 주부로 살아가는 한 여성의 이야기는 여성들의 삶을 이해 못 하는 기득권 남성들 혹은 여성들의 과장된 피해자성 전시로 서로에게 비난의 화살을 날리는 소재가 되고 있다.

남녀 갈등의 중심에 서 있지만, 정작 영화는 남성과 여성을 대결 구도로 두지 않았다는 것이 영화를 보고 든 나의 생각이다. 이 영화는 남성을 적으로 삼기보다 ‘가부장제’라는 커다란 사회의 틀 내에서 고통받는 개인들을 남성과 여성에 상관없이 그려냈다. 극 중에서 주인공의 자아실현을 가장 방해하는 주체는 남편이 아닌 아들의 육아휴직을 결사반대하는 시어머니이다. 아내를 위해 남편이 육아휴직을 쓰려 해도 쓰기가 망설여지는 이유는 복귀 후 승진이 어렵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가 고발하는 것은 ‘가부장제’ 그 자체이기 때문에 영화에 나오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악의’가 없다. 사회의 공기가 가부장제로 가득 차 있는 곳에서는 모두가 정해진 무엇으로 강요받는 ‘누군가’가 된다. <82년생 김지영>은 가부장제에서 ‘여성’이기 때문에 주어진 역할에 고통받는 개인이 이를 거부하고 주체적인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려낸 영화다. 그뿐이다.

그렇다면 혹자는 이 영화가 페미니즘 영화가 아닌 것 아니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적 틀을 거부하고 다른 삶의 서사를 꿈꾸고, 이를 존중한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충분히 ‘페미니즘적’이다. 온라인에서 일부 남성들에게 ‘페미니즘’이 여성 우월주의로 통용되는 것과는 달리, 여성주의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다양한 목소리들이 공존하는 사회다. 여성학자 정희진은 페미니즘은 투쟁과 쟁취가 아닌 협상과 사유, 공존과 상생의 길을 모색하는 방법이라 말한 바 있다. 우리가 흔히 일반적인 상식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상식이 아니고, 보편이라고 믿고 객관이라 믿었던 세계가 사실 왜곡된 것이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페미니즘 사유의 기본이다.

물론 이 영화에서 고발하는 가부장제는 남성의 기득권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한 ‘개인’으로 온전히 서 있을 수 없는 성별은 남성보다 여성이다. 가부장제를 고발하는 데 남성이 아닌 ‘김지영’이라는 여성이 선택된 이유다. 결혼과 동시에 직장과 사회에서 배제되어 ‘누군가의 아내 혹은 어머니’로 살아가야 하는 것은 그 자체로 온전한 하나의 주체로서 이름이 박탈당하는 과정이다. 극 중에서 김지영이 정신병에 걸리게 되는 것은 가사노동의 힘듦 때문이 아니라 결혼 후 자기 자신을 잃어가는 과정을 못 견디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회생활의 ‘힘듦’과 가정에서의 ‘힘듦’을 경합하며 ‘사회생활도 가사노동 못지않게 힘들다’고 주장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젊은 세대로 갈수록 여성주의에 대한 여성들의 공감이 짙어지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다. 과거의 어머니와 할머니 세대처럼 노골적인 차별을 받지 않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도리어 성별을 이유로 ‘온전한 개인으로서의 감각’을 침해받는 행위에 대해 민감한 것이다. 할머니, 어머니 세대가 받았던 차별과 젊은 여성들이 받는 차별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 또한 무의미한 이유다.

영화 말미에서 김지영은 자신을 ‘맘충’이라 욕하는 이들에게 이렇게 일갈한다. “나를 알아요? 내가 왜 맘충이에요? 내가 어떤 일을 했고 누구를 만났고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는지 당신이 알아요?” 영화가 주고자 하는 메시지는 바로 이 대사처럼 다른 사람의 생에 대해 함부로 이야기하지 말자는 것에 있다. 가부장제를 비롯한 우리 사회의 수많은 편견으로 개개인의 이름을 억압하며 ‘당신은 어떠하다’ 혹은 ‘당신은 어떠해야 한다’는 메시지들이 쏟아질 때, 그러한 틀에서 벗어나 타인을 온전한 주체로 인정하고 존중하자는 것. 그렇게 타인의 삶을 존중하기 위해선 우선 함부로 생각하지 말고, 함부로 얘기하지 말아야 한다. <82년생 김지영>을 두고 온갖 시끄러움이 번지는 지금, 보다 조용한 성찰이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