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새>는 2018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처음 공개된 이후 전 세계 25개국에서 상을 휩쓸며 극찬을 받고 있다. 한국영화사상 전후무후한 기록을 낸 이 영화는 신인 김보라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다.
영화의 배경은 1994년이다. 14살 은희(박지후)는 가부장적인 아버지, 그 아버지에 눌려 무기력한 어머니, 공부는 잘하지만 습관처럼 폭력을 휘두르는 오빠, 어른들의 기준에서 일탈을 일삼는 문제아 언니와 함께 산다. 아파트 상가에서 방앗간을 하는 부모님은 늘 바쁘거나 지쳐있다. 막내 은희에게는 무관심하다. 언니와 오빠 사이에서 관심받으려고 건네는 말은 무시당한다. 가장 아늑해야 할 공간에서 은희는 외로움을 느낀다.
집에서만 은희의 존재가 흐릿한 것은 아니다. 열등생 은희는 학교에서 친한 친구 한 명 없다. 공부에 별 흥미가 없고 쉬는 시간에 자는 게 일쑤인 은희는 소위 공부 잘하는 아이들의 뒷말 대상이다. 아이들은 엎드려 자는 은희를 가리켜 저렇게 공부 못 하는 애는 자기네 파출부나 될 거라고 말한다.
담임교사는 학생들에게 “우리는 노래방 말고 서울대 간다”라는 구호를 다 같이 외치게 하거나,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들을 인격적으로 무시한다. 은희의 눈에 비친 세상은 믿을 수 없을 정도의 폭력으로 가득하다.
무관심 속에 방치되는 은희는 집과 학교 밖을 나서면 자유를 만끽한다. 남자친구와 한자학원을 같이 다니는 친구, 자신을 좋아하는 후배를 만나 집과 학교에서 채우지 못한 허전함을 메운다. 하지만 그들은 은희의 마음속에 어떤 폭풍이 몰아치는지 알지 못하며, 때때로 상처를 주기도 한다. 은희의 귀 뒤에 돋아난 혹은 은희가 처한 상황을 상징하는 것 같다.
이런 은희 앞에 정신적 지주가 나타난다. 한문학원의 강사 영지(김새벽)는 유일하게 은희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준다. 관계에서 크고 작은 일에 혼란을 겪는 은희는 ‘상식만천하 지심능기인(얼굴을 아는 사람은 천하에 가득하지만, 마음을 아는 사람은 몇이나 되겠는가)’는 조언을 해주는 영지에게 처음부터 끌린다. 영지는 “나도 언젠가 빛날 수 있을까요?”라는 은희의 질문에 답해줄 유일한 어른이다. “은희야, 너 이제 맞지 마. 누가 널 때리면, 어떻게든 맞서 싸워. 알았지?” 다양한 형태의 폭력에 둔감해지는 은희에게 맞서 싸우라는 가르침도 해준다. 하지만 영지가 말없이 한문학원을 그만두면서 은희는 상실의 아픔을 겪는다.
그리고 10월 21일 성수대교가 무너진다. 은희의 일상에 생긴 작은 균열은 성수대교 붕괴 사건으로 연결된다. 은희는 추락한 버스에 언니가 타고 있지 않을까 가슴을 졸인다. 다행히도 언니는 버스를 놓쳐 목숨을 건진다. 은희에게 무력을 행사하던 오빠는 누나가 무사한 것을 확인하고 오열한다.
영화는 성수대교 붕괴라는 한국 사회의 보편적 상처를 개인적 사건으로 들추어내어 어루만진다. 성수대교 붕괴사건을 ‘은희’라는 한 소녀의 개인적 서사에 시적인 감성으로 엮어낸 것이다.
<벌새>는 주인공인 은희를 세상을 향한 고발을 위한 인물로 그리지 않는다. 90년대 향수를 자극하기 위한 매개체로도 전락시키지 않는다. 누군가에겐 행복한 일이 생각나는, 다른 누군가에겐 아픈 기억이 떠오르는 1994년, 당시 한국 사회의 크고 작은 일을 담담하지만 섬세하게 그려낸다.
김보라 감독은 영화 제목의 의미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벌새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새로 1초에 날갯짓을 평균 80회나 한다. 동물 사전에서 벌새를 희망이나 사랑, 생명력을 상징한다. 은희의 여정과 닮았다.”
박찬욱 감독은 이 영화를 본 뒤 김 감독에게 “속편을 내놓으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의 말처럼 엔딩크레디트가 올라가면 속편이 기다려진다. 일련의 사건을 겪은 은희가 어떻게 성장했는지, 2019년 마흔을 목전에 둔 은희는 어떻게 살고 있는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