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저널리즘 컨퍼런스] “변화하는 미디어 생태계에서 어떻게 살아남을까”

뉴스민 창간 10주년 기념 지녁저널리즘컨퍼런스
1부 대전환의 저널리즘 연사 발표 요약
박한우 영남대 교수, 맞춤화 전략 필요···탈 중앙집중화 요구
장광연 뉴스타파함께센터 PD, 뉴스타파의 보도기법 그리고 10년 후
이성규 미디어스피어 대표, 수익다각화 역시 독립언론에도 적용되는 문제
박진영 어피티 대표, 다섯번의 실패와 월급 주는 첫 회사

11:48
Voiced by Amazon Polly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미디어 환경을 그저 두려워 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학계와 독립언론, 미디어 스타트업 창업자 등은 맞춤화 전략과 협업 모델, 수익다각화, 킬러콘텐츠를 생산하는 전문성 강화 등이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도 유효한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창간 10주년을 맞은 뉴스민이 주최한 ‘2022년 제1회 대구경북 저널리즘컨퍼런스:대전환의 시대, 다시 저널리즘’이 지난 17일 대구 북구 경북대 사회과학대학에서 개최됐다. 컨퍼런스는 ‘대전환의 저널리즘’, ‘대전환의 지역 저널리즘’, ‘토론의 장’으로 3개 섹션으로 진행됐다.

이중 대전환의 저널리즘에선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한 박한우 영남대 교수, 장광연 뉴스타파함께센터 PD, 이성규 미디어스피어 대표, 박진영 어피티 대표가 연사로 나서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이들은 각자 자신의 경험 등을 기반으로 저마다 미디어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을 제언했다. 컨퍼런스는 영풍, DGB대구은행, 대성에너지, 인디053이 후원했고, 대구경북언론학회가 뉴스민과 함께 행사를 주관했다.

박한우 영남대 교수
맞춤화 전략 필요···탈 중앙집중화 요구
변화하는 미디어 생태계에서 우리의 마음가짐

▲지난 17일 뉴스민 주최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에서 열린 제1회 대구경북저널리즘컨퍼런스 <대전환의 시대, 다시 저널리즘>에서 박한우 영남대 교수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용태 기자)

먼저 박한우 영남대 교수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 언론이 가야할 길’이라는 발제를 통해 최근 중요해지는 맞춤화 전략을 설명했다. 박 교수는 “맞춤화된 모델은 성별이나 사는 지역, 친구까지 찾아낸다. 신문기사도 마찬가지로 알고리즘으로 선호하는 기사를 추천해주는 것을 경험했을 것이다. 기업들도 데이터 역량이 있느냐와 예측 중심 마케팅이 중시되고 있다”며 “언론사의 SNS 활용은 시청자와 독자 확대 명분이지만 데이터 수집과 맞춤화를 위한 불가피한 생존전략”이라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현재 언론 미디어 생태계에 관해 “언론생태계가 파편화되면서 생존을 위해 연결을 필요로 한다. 미디어 이용자의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수집해서 맞춤화 전략을 해줘야 한다”며 “맞춤화 전략을 위해 이용자들의 자아효능감 증진 활동을 통해서 데이터 생산을 유도하게 된다. 그런데 디지털 플랫폼과의 공존이 데이터 식민주의를 초래하게 된다. 미디어 생태계는 이런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짚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언론은 중앙집중화, 중앙에 매개자가 있는 모델, 탈중앙 등 세 가지 모델 중 최소한 중앙집중화를 벗어나 두 번째와 세 번째 모델로 가야한다고 언급했다. 박 교수는 “그래야 최소한 포털이나 OTT에 집착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판을 짤 수 있다. 왜 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하느냐의 문제”라고 말했다.

미디어 생태계에 대해 낯설어 할 필요는 없다고도 했다. 박 교수는 “세상이 완전히 바뀌지는 않는다. 밑단의 네트워크 구조가 바뀌는 것”이라며 “우리가 주는 카톡 메신저처럼 이런 메신저를 계속 만들어내고 있다. 90년대생들이 그런 작업들을 지금 충분히 하고 있더라”고 말했다.

장광연 뉴스타파함께센터 PD
뉴스타파의 보도기법 그리고
10년 후 뉴스타파의 꿈은

▲지난 17일 뉴스민 주최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에서 열린 제1회 대구경북저널리즘컨퍼런스 <대전환의 시대, 다시 저널리즘>에서 장광연 뉴스타파함께센터 PD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용태 기자)

두 번째 발표는 장광연 뉴스타파함께센터 PD가 ‘뉴스타파가 독립언론 인큐베이팅에 나선 까닭’으로 뉴스타파에서 자신이 하는 일을 소개했다. 장 PD는 뉴스타파함께센터에서 저널리즘 교육과 다큐멘터리 제작을 맡고 있다. 뉴스타파는 2012년 광고와 협찬 대신 후원을 통해 운영을 하는 대표적인 독립언론이다. 장 PD에 따르면 2014년부터 뉴스타파 탐사보도 연수 제도를 운영 중이고, 지금까지 100여 명이 수료했다. 절반 정도가 현업에서 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장광연 PD는 “탐사 보도를 못하는 이유가 방법을 몰라서가 아니라 탐사 보도를 하기 굉장히 어려운 구조”라면서 “2021년 기준으로 인터넷신문 숫자가 1만 628개다. 언론의 위기라고 하는데 늘어나는 이유는 일단 돈벌이가 되니까 그렇고, 그다음에 허들이 낮으니까 그렇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 개가 되는 언론사에서 쏟아내는 기사는 굉장히 많다. 그런데 ‘홍수에는 마실 물이 없다’”면서 “기사는 굉장히 많이 쏟아지고 있는데 언론사 신뢰도는 떨어지고 독자들은 읽을 만한 기사가 별로 없다”고 지적했다.

장 PD는 비영리언론에게 핵심성과지표는 ‘impact(임팩트, 영향)’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뉴스타파는 지난 10년 동안 지속가능성에 대해 질문을 받아왔다. 생존할 수 있던 이유는 후원회원에게 세상을 바꿔나간 것 같다는 효능감을 줬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장 PD는 뉴스타파의 주요 보도 기법으로 출입처 없이 취재하는 것과 협업을 언급했다. 그는 “출입처 없이 취재한다. 제보는 결국 의도가 담겨있기 때문에 이를 경계한다”며 “조세도피처 추적 보도는 대표적인 국제협업이다. ‘국회개혁:세금도둑추적’ 기사는 시민단체와 협업했다”고 설명했다.

뉴스타파가 독립언론 인큐베이팅을 하는 이유에 대해 장 PD는 “앞으로의 10년은 그러한 협업을 키워나가는 것”이라며 “뉴스타파와 같은 독립언론을 계속 만들어내는 것이 목적이다. 뉴스타파와 같이 임팩트를 주는 매체 10개만 만들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이성규 미디어스피어 대표
독자의 삶의 다양한 영역을 다뤄줄 수 있는가

수익다각화 역시 독립언론에도 적용되는 문제

▲지난 17일 뉴스민 주최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에서 열린 제1회 대구경북저널리즘컨퍼런스 <대전환의 시대, 다시 저널리즘>에서 이성규 미디어스피어 대표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용태 기자)

세 번째 연사로 이성규 미디어스피어 대표가 ‘미디어생태계 신뢰 회복을 위한 전략으로써 수익다각화’를 주제로 미디어스피어의 비전과 방법론을 보여줬다. 이성규 대표가 작년에 창업한 ‘미디어스피어’는 창작자들의 빠른 성장을 도와주는 수익 다각화 플랫폼이다.

이 대표는 “20년 동안 어떤 디지털 미디어가 생겨나는 것을 지켜봤다. 언론은 더 전진하지 못하고 신뢰를 얻기가 힘들어지고 있다”며 “포털에 종속되거나 콘텐츠 품질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고민이 들었다. 플랫폼에 대한 종속이 언론사와 창작자들의 자율성을 가둬 놓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고 창업 배경을 전했다.

이성규 대표는 미디어 환경의 수익 구조에 관해서 “결국은 광고라는 중심 수익 모델에서 빠져 나오거나 그 비중을 확실하게 낮춰야 된다고 생각했다”며 “그래서 저는 수익을 훨씬 더 믹싱할 수 있는 어떤 영리함이 창작자뿐만 아니라 언론사들한테도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수익모델의 전환과 다각화 측면에서 창작자들이 기대수익을 더 빨리 얻을 수 있는 솔루션을 계속적으로 내놓는 것이 필요하다. 저희는 ‘제로백’이라는 지표를 쓴다”며 “0원에서 100만 원까지, 월 순환 수익 100만 원까지 걸리는 시간을, 현재 상위 30%가 약 5.2개월 정도 걸린다. 유튜브의 평균 소요시간보다 절반”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러한 기대 수익이 빨리 도달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더 좋은 콘텐츠를 즐겁게 생산하는 기반이 된다고 여겼다. 그는 “유료 구독과 커머스를 함께하는 번들링 수익 사례도 있다”며 “창작자들마다 재능과 경험이 다른데, 유료구독으로 주력을 하면 더 빨리 기대수익에 다가갈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하나의 플랫품에서 개발 비용에 대한 고민도 번들링을 통해 해소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창작자들 간, 상품들 간의 번들링을 유기적으로 쉽게 구현하기 위한 고민을 계속 해나가고 있다”며 “현재 20여 팀이 함께 하고 있다. 수익 다각화와 번들링 전략을 통해서 그 기간을 단축시키는 노력들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대표는 자신의 사업모델 전략은 독립언론에도 유효하다고 했다. 그는 “언론의 역할을 권력 감시와 비판으로만 한정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며 “독자들의 삶의 다양한 영역을 어떻게 다뤄줄 수 있는가. 실제로 지속가능한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입, 특히 수입다각화가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진영 어피티 대표
다섯번의 실패, 월급을 주는 첫 회사

2030 여성을 타깃으로 한 경제 뉴스레터

▲지난 17일 뉴스민 주최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에서 열린 제1회 대구경북저널리즘컨퍼런스 <대전환의 시대, 다시 저널리즘>에서 박진영 어피티 대표가 발표하고 있다. (사진=정용태 기자)

마지막 발제는 박진영 어피티 대표가 자신이 경험한 ‘뉴미디어 창업기’에 관한 이야기로 풀었다. 박 대표는 다섯 번의 실패를 경험하고, 현재는 어피티(UPPITY)라는 2030여성을 대상으로 한 경제와 재테크 정보를 제공하는 뉴스레터를 운영한다. 박 대표에 따르면 현재 어피티의 구독자는 약 24만 명이다.

박진영 대표는 먼저 5번의 실패를 언급하면서 “그동안 제가 사업을 했던 미디어는 모두 또래들을 위한 미디어였다”며 “사실은 수익을 내지 못하면 동료들에게 (함께 일하자고) 설득하지 못한다. 실제로 설득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미스핏츠, 청춘씨:발아, 필리즘, ALT, POV를 거쳐 지금의 어피티에 안착했다. 박 대표는 월급을 제대로 주는 회사가 이번이 처음이었다고 했다.

박 대표는 “관심사나 플랫폼이 계속 바뀌어 온 것처럼 지금 (저희가 하고 있는) 뉴스레터 역시 지금은 정답같지만 앞으로는 아닐 수 있다”며 “어피티를 시작하게 된 것은 생활 미디어를 만들어보자 했고, 타겟 고객 리서치를 통해 2030 여성이 돈에 관련된 고민이 있다는 걸 포착하게 됐기 때문”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어피티는 시작 당시부터 첫 직장 기준 3년 차 이하, 연소득 3,000만 원 이상, 금융경제에 대한 배경지식 부족한 사람들을 타킷 독자로 구체화 했다.

또 뉴스레터 형식을 삼은 이유에 관해서도 “직장생활을 하면 아침에 출근해서 이메일을 먼저 열어본다고 하더라. 저를 포함한 동료들이 취직을 안 해봐서 그걸 몰랐다”며 “금융 경제 쪽의 부채감을 갖고 있는 타겟 독자에게 이메일로 바로 꽂아주는 게 효율적이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어피티는 크게 경제 뉴스와 칼럼으로 나뉜다. 박 대표는 형식은 계속 변화를 꾀하고 있다고 했다. 박 대표는 “해외 미디어를 열심히 본다. 괜찮은 참고 자료를 찾으면 검색에 검색을 통해 계속 찾아본다”면서 “어피티의 주요 수입원은 광고와 제휴로 비중은 반반이다. 광고는 금융회사나 채용 공고, 정부 지원 사업들을 인바운드로 들어오는 게 있으면 직접 소재를 받고 기사를 써서 레터를 통해 내보낸다. 제휴 사업은 어피티가 만든 콘텐츠의 사용권을 일정 기간 대여를 해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표가 그리는 앞으로의 어피티는 크게 세가지다. 그는 “매체력 확장과 킬러콘텐츠 생산, 전문성 강화가 미션”이라며 “여성잡지를 찢어서 주제별로 뉴스레터화 하는 것처럼 앞으로 더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레터들을 만들어 나갈 예정”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지난 17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에서 제1회 대구경북저널리즘컨퍼런스 <대전환의 시대, 다시 저널리즘>이 뉴스민 주최로 열렸다. (사진=정용태 기자)

장은미 기자
jem@newsm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