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준의 육아父담] 을지가사(家社)연합훈련 참가기

16:52

아내에게서 청천벽력 같은 통보가 왔다. “나 다음 주 을지훈련이야.” 담담하게 말하지만, 목소리에는 벌써부터 걱정이 묻어난다. 아내는 군인도 경찰도 아닌 일반 공무원이지만, 해마다 을지훈련에 참가한다. 물론 상황훈련이 전부라고는 하지만, 나라가 온통 전쟁연습을 하는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한미연합훈련에 공무원이 예외일 수 없다. 그리고 이 훈련은 우리 가족에게 적잖은 시련을 준다.

우선 딸아이에게 엄마는 월요일 아침에 일찍 나가서 없을 거라고 언질을 줬다. “엄마 아침에 없을 거야. 전쟁연습 하러 가야 해.” 있는 그대로를 솔직하게 말했지만, 곧 후회하고 말았다. “전쟁연습? 그럼 엄마 다치는 거야?”라고 물어오는 아이 얼굴에 근심이 가득하다. 아니라고 상황훈련만 하고 다치는 일도 없고 힘든 일도 없다고 말을 했지만, 설명하기에 뭔가 많이 부족하다. 그렇게 다가온 월요일 아침, 아내는 새벽같이 출근하고 딸은 일어나자마자 엄마에게 전화한다. 방문을 꼭 닫고 비밀대화를 나누는데 대충 들어보니 다치지 마라, 힘내라는 이야기다. 역시 딸이 최고다.

▲을지훈련 가운데 주민철수 훈련 중인 시민들. [사진=대구시 동구청 제공]

하지만 사실 이건 전초전에 불과하다. 하루에 불과하지만 사무실에서 비상근무를 서야하고 아이들과 엄마 없는 하루를 보내야 하는 본게임이 남아있다. 아내가 국가의 부름을 받고 외박을 하는 날, 나라는 ‘라운드 하우스’, 우리 집은 ‘엠프티 하우스’를 선포했다. 나는 실컷 놀리고 떡실신을 만들어 집에 간다는 작전계획을 짰다.

이 작전에는 집에 있는 시간을 최소화해서 어지럽힐 틈을 주지 않고 집 정리 시간을 줄이겠다는 포석도 깔려있다. 그리고 전략적 요충지로 몇 번 가봤던 키즈카페를 선택했다. 이곳은 키즈카페 중 보기 드물게 외부음식이 반입되고, 종일권을 구매하면 저렴하게 놀 수 있다.

기세등등하게 키즈카페에 입장한 우리는 평일임에도 단체손님과 초딩이라는 복병을 만났다. 무리의 아이들은 이방인 접근을 허용하지 않고 제법 다 큰 녀석들 틈바구니에 우리 애들은 겁에 질려 ‘무서워’를 연발할 것이다. 우리는 작전을 변경해 덜 붐비는 틈새를 공략하는 게릴라전에 들어가기로 한다. 철없이 시비를 걸고 다니는 둘째 녀석을 뜯어말리고, 장난감을 뺏긴 아이에게 “아빠가 나가서 사줄게” 공수표를 남발하면서 말이다.

가장 중요한 저녁밥 해결이 남았다. 과감히 아이들이 좋아하는 족발을 전투식량으로 시켰다. 하지만 이 결정은 객관적 상황을 읽지 못한 엄청난 판단 실수였음이 곧 드러났다. 쌈이며 장이며, 김치며, 하다못해 된장찌개까지 푸짐하게 나오는 바람에 협소한 공간에 오히려 번잡기만 하고 밥 먹이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전화를 받는 족발집 사장님의 생소함과 주저함이 이제야 이해된다. 전투식량이 간편식인 데는 다 이유가 있다.

키즈카페 사장님은 애들 식기를 갖다 주며 맛있는 것을 시켰다며 응원을 해줬다. 힘이 난다. 주위를 보니 족발을 먹는 집은 우리밖에 없다. 다시 의기소침해진다. 그래도 아이들이 밥을 잘 먹어 천만다행이다. 그 후 사기와 체력이 떨어질 때마다 부식으로 음료수와 아이스크림을 보급하며 애초 목표로 삼았던 키즈카페 문 닫는 시간까지 버티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베이스캠프로 복귀한 우리는 물총을 하나씩 들고 수중전을 치르며 목욕을 마치고 잠옷으로 환복까지 끝냈다. 마지막으로 엄마와 눈물의 화상면회까지 하고 나서는 소등을 하고 취침에 들어간다. 한 시간 정도 지났을까? 다행히 아이들이 잠들었다. 하지만 나의 일과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

훈련보다 중요한 정비가 남았다. 쌓여있는 설거지를 하고 집을 대충 치우고서 잠을 청했다. 희한하게 잠이 안 온다. 불침번 서는 기분이다. 둘째 아이는 더운 탓인지 몇 번을 일어나 잠투정을 부린다. 평소에는 잘 들리지 않던 울음소리가 귀신같이 잘 들린다. 후다닥 다가가 토닥토닥, 우리 아들 착하지 콤보를 시연하니 곧 다시 잠이 든다. 아내는 매일 밤을 이렇게 보내는데 그동안 나는 속도 없이 참 편하게 잤구나 싶다.

다음 날 아침, 아이들이 투정도 덜 부리고 아침밥도 잘 먹는다. 누울 자리를 보고 다리를 뻗는다고 엄마가 없으니 오히려 알아서 척척이다. 아이들 등원을 마치고 나니 1박 2일 상황도 무사 종료다. 하지만 내년에도, 내후년에도 어김없이 이 전쟁을 또 치러야 한다. 도대체 나라도 가정도 엄청난 에너지를 써가며 왜 이 짓을 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매년 이게 무슨 국력낭비, 가정평화 위협인가 싶다.

친구와 싸웠을 때, 가족끼리 다툼이 있을 때 우리는 아이에게 ‘먼저 사과해’, ‘양보해’라고 가르친다. 가장 평화적이고 갈등을 해결하는 합리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가만히 있으면 안 돼’, ‘꼭 복수해’라고 가르치는 부모는 아무도 없다.

그래서 지금 우리의 분단 상황과 전쟁을 방불케 하는 군사훈련에 대해 아이들에게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아이의 눈에는 한 가족인 남과 북이 갈라져 있다는 것이, 화해하지 않는다는 것이, 으르렁대며 총칼을 겨누고 있다는 것이 이상하다. 싸우면 안 된다고 배웠는데 더 잘 싸우기 위해 준비하는 것은 더 이상하게 보인다.

아이들과 함께 성주군청, 소성리 마을회관 앞에서 열리는 사드 배치 반대 집회에 참석한 적이 있다. 아이들을 데리고 집회에 참석하는 것이 사실 예삿일은 아니다. 많은 인파와 차량, 도처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고, 주변을 헤집고 다니면서 떠드는 통에 방해가 될까 죄송스럽기도 하다. 그래서 애들을 다그치면 옆 자리 할매들이 자기 손주를 보는 것처럼 지긋이 웃는다.

“아이고 너거도 여까지 왔나? 고생시켜서 미안테이~” 말하는 것 같다. 사실 평화는 별거 아니다. 할머니의 인자한 웃음이, 아이들의 해맑은 웃음이 바로 평화다. 그리고 웃음을 지켜주는 것이 평화를 지키는 길이다. 이젠 이 땅의 전쟁연습도 우리 집의 전쟁연습도 중단했으면 한다. 나라의 평화, 가정의 평화를 위해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