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공익메신저 활동, 일상에 스며들어”

경북여고, 도원고, 효성여고 학생들 환경 문제 공익활동

13:50

“3개월 활동이 앞으로 삶을 살아가는 데 영향을 미칠 거 같으세요?”

“물품을 살 때 일회용품인지 확인부터 하고 살 것 같아요. 같은 가격이거나 조금 비싸더라도 환경에 도움 되는 걸 선택하게 될 것 같아요” / 이슬

“그럴 것 같아요. 생각지도 못한 것에서 환경을 낭비하는 행동을 자연스럽게 하고 있었어요. 덥다고 에어컨을 세게 켠다거나 제 편의를 위해 환경을 훼손해 온 거예요. 이후엔 어떤 행동을 할 때 한 번은 환경을 생각하게 됐어요” / 이예진

“저는 꼭 미칠 거라고 생각해요. 학교에서 하는 환경보호 교육 같은 건 동영상 보고 ‘실천합시다’ 정도 말만으로 끝났는데, 이 활동은 직접하게 되니까 끝나가는 무렵에는 매일 실천하는 게 일상이 되었어요” / 이소은

“아무래도 영향을 미칠 것 같아요. 옛날엔 쓰레기가 많으면 안 좋다고 하면 그런가 보다 했어요. 이번에 활동을 하면서 문제가 좀 더 심각하다는 것도 알게 됐고, 생각보다 실천하는 게 어려운 일도 아니라는 걸 알게 됐어요” / 한지혜

8일 저녁 달서구 두류동 메세지팩토리협동조합에서는 3개월 간의 청소년 공익메신저 활동을 마무리하는 성과공유회가 열렸다. 코로나19 상황 장기화로 활동 대부분을 비대면으로 진행한 참여 학생들은 이날 처음 한자리에 모여 서로의 활동 성과물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공익메신저 활동은 청소년이 다양한 사회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방안도 모색해보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지난해 처음 대구시 시민공익활동지원센터와 메세지팩토리협동조합이 시작했다. 지난해 공익메신저 1기는 경화여고 1개 학교가 참여해 4가지 사회 문제에 대한 공익활동을 했다. 올해는 경북여고, 도원고, 효성여고 3개 학교에서 학생 18명이 참여했고, ‘환경’이라는 단일 사회 문제에 대한 공익활동을 전개했다.

박성미 공익활동지원센터 사업지원팀장은 “지난해 학생들 스스로 공익활동 주제부터 정하게 해보니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올해는 큰 테마는 정해주고, 작은 주제는 학생들 스스로 결정해 활동하는 방식으로 바꿔봤다”며 “환경을 테마로 한 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기후문제 같은 환경 관련 이슈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활동은 <오늘부터 나는 세계 시민입니다>를 읽는 것에서부터 시작됐다. <오늘부터 나는 세계 시민입니다>는 UN이 발표한 지속가능한 목표에 대해 서술한 책이다. 책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세부적인 환경 공익활동 주제를 정하면 멘토들이 후방 지원해주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애초엔 지구의 날에 맞춰 오프라인 캠페인을 계획했지만, 코로나19 유행이 2월 이후 장기화되면서 비대면 활동으로 전환됐다.

참여 학생들은 4개 팀으로 나뉘어서 팀별로 물, 지구, 참치, 생물 다양성, 환경, 해양, 식량 같은 환경 문제 중 하나를 주제로 정했다. 이후엔 실생활 실천 활동 리스트를 만들어 직접 환경 보호를 위한 활동을 해보고, 환경일기 작성, SNS 홍보 등을 이어왔다. 3개월 이어진 공익메신저 활동은 학생들의 일상에도 스며들었다.

이슬(18, 효성여고) 씨는 가정에서 많이 쓰던 종이컵 줄이기 활동을 했다. 이슬 씨는 “부모님께 종이컵 사용을 5일 정도만이라도 줄여보자고 권유했고, 같이 실천하니 실천 의지가 높아졌다”고 환경일기에 썼다. 이슬 씨의 활동은 5일에 그치지 않고 현재도 진행형이다.

이슬 씨는 “지금도 종이컵은 거의 안 쓴다”며 “이전엔 환경에 관심이 없었지만 활동을 통해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게 됐다. 직접 실천할 수 있는 활동들이 어렵지 않아서 지속하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예진(18, 경북여고) 씨는 코로나19로 학내에 급증한 생수 페트병을 제대로 분리수거하는 일을 계속 이어오고 있다. 학교는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학내 정수기 사용을 금지했고, 학생들은 하루 동안 마실 생수를 구매해 등교한다. 문제는 다 먹은 생수 페트병 처리인데 공익메신저 활동 이후 예진 씨는 친구들에게 올바른 페트병 분리수거 방법을 알리고 지켜달라고 당부한다.

예진 씨는 “쓰레기 처리하는 당번이기도 한데 요즘 가장 많이 나오는 쓰레기가 페트병이다. 친구들이 물을 남겨 버리기도 하는데, 다 비우고 버리라거나, 비닐 라벨도 떼고, 압축해서 버려달라고 한다”고 말했다.

예진 씨는 “급식 수저도 본인이 챙겨와야 하는데, 그러다 보니 일회용 수저를 쓰고 버리는 일이 많다”며 “저도 처음엔 나무젓가락을 쌓아두고 쓸까도 생각했지만 번거롭더라도 집에서 수저를 챙겨오는 게 낫지 않나 생각해서 들고 다니게 됐다”고도 덧붙였다.

마찬가지로 경북여고에 다니는 이소은(18) 씨는 생수를 사는 대신 친구들과 텀블러를 공동구매해서 집에서부터 물을 가져다 다니게 됐다. 소은 씨는 “하루만 지나도 쓰레기통에 물병이 차서 그걸 버리길 반복했는데, 친구들과 텀블러를 공동구매해서 이용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한지혜(18, 도원고) 씨는 공익메신저 활동 이후 15~20분을 걸어서 등·하교하는 일이 잦아졌다. 지혜 씨는 “원래 등·하교할 때 아빠 차를 타거나 늦으면 택시를 타곤 했는데, 요즘은 자주 걷는다. 좀 더 부지런해진 느낌”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