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연구원장, “대구, 경북 분리하면 예산 늘고, 특화될 것”

15:46
Voiced by Amazon Polly

대구경북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선 대구, 경북의 연구원 분리에 대한 질의가 주로 나왔다. 대구시의원들은 이미 분리를 결정한 만큼, 분리 과정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 것을 주문했고, 유철균 대구경북연구원장은 분리의 긍정적인 면을 강조했다.

17일 오전 대구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기행위)는 대구경북연구원(대경연구원)에 대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군위군 편입에 따른 연구원의 적극적 역할, 연구 성과에 따른 합리적 보상 마련, 분리에 따른 상생협력관계 발전 방안 등이 지적됐으며 10시 30분에 시작한 감사는 1시간 만인 11시 35분경 끝났다.

지난 9월 7일 경상북도는 대구시에 ‘경북 독자 연구원’ 설립 추진 의사를 공식 전달했으며, 대구시는 6일 뒤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경북도가 제안한 대경연구원 분리를 전격 수용했다. 이후 노동조합의 반대가 이어졌지만, 대구경북연구원은 실무협의회를 꾸려 분리 절차를 밟고 있다. (관련 기사 대구경북연구원 노조, “분리‧해산 법적 근거 미비”(22.09.15.))

▲김대현 의원은 “하필이면 홍준표 시장님이 부임하자마자 (결정이 내려졌다). 분리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 나왔던 내부 사정은 있지만 강공 드라이브를 하는 마당에 외부에 비춰지기엔 (좋지 않다)”고 지적했다. (사진=대구시의회 생중계)

여러 의원들이 대구경북연구원 분리 진행 상황을 묻자 이정미 대경연구원 기획경영실장은 실무협의회에서 협의된 내용을 설명했다. 이정미 실장은 “대경연구원은 경북연구원으로 포괄 승계되고, 대구시정연구원(가칭)은 내년 3월 본격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인력 및 재산, 여러 기타 공간에 대한 포괄적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대구시정연구원은 동대구역 인근 대구경북디자인센터의 3개 층을 리모델링해 사용할 계획이며 신규채용 및 경력직 이동에 대해선 행정안전부와의 협의를 거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이성오 대구시의원(국민의힘, 수성구 제3)은 “대구와 경북의 공통 과제가 제대로 없었기 때문에 경북에서 분리하자는 이야기가 나온 것 아닌가”라며 “연구 결과물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효율적인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대현 대구시의원(국민의힘, 서구 제1)은 “분리와 통합, 각각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31년간 (연구를) 같이 해왔고 행정통합이 거론되는 현시점에, 하필이면 홍준표 시장님이 부임하자마자 (결정이 내려졌다). 분리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 나왔던 내부 사정은 있지만 강공 드라이브를 하는 마당에 외부에 비춰지기엔. 분리가 맞다고 생각하는가”라고 물었다.

유철균 대구경북연구원장은 “긍정적으로 보면 합쳐져 있음으로써 다른 지방정부 연구원보다 예산이 적었는데, 분리됨로서 예산이 늘고 특화·심화되는 부분이 있을 것 같다. 오히려 대구와 경북의 협력관계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임인환 위원장은 연구실적, 공동연구과제, 주요 기관과의 협약 등에 대한 처리를 물었다. (사진=대구시의회 생중계)

그동안 대구경북연구원이 쌓아온 연구실적, 공동연구과제, 주요 기관과의 협약 등에 대한 처리를 묻는 질문도 나왔다. 임인환 기행위 위원장(국민의힘, 중구 제1)은 “분리된 이후에도 경북과의 공동 발전과 상생협력에 관한 연구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연구실적, 진행 중인 연구 과제 등은 어떤 식으로 배분되는지 물었다.

장재호 대경연구원 총괄연구본부장은 “연구 실적과 노하우, 데이터베이스는 최대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 8월 25일 분리 발표 이후론 협약 체결이 거의 진행되지 못했다. 기존의 협약은 일단 경북연구원으로 포괄 승계되며, 대구시정연구원은 새로 협약을 맺을 예정”이라고 답했다.

추가 설명에 나선 이정미 기획경영실장은 “(대구시정연구원이) 신규 설립이라곤 하나 여타 법인 신규 설립과는 다른 상황이다. 필수로 있어야 하는 협약을 리스트업해서 대구시정연구원에 문서상으로 연계될 수 있는지 행정안전부에서 검토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분리 이후 두 연구기관의 상생이 가능할지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유철균 원장은 “우려에 공감하고 있다. 환경 변화는 있지만 두 기관이 상생하고 윈윈할 수 있는 방법이 분명 있을 것”이라며 “특별연구단을 구성해 이를 항목화하고 있다. 중앙부처에 대응하는 동시에 서로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평가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되면서 더욱 과학적인 연구가 도출될 수 있다고 본다”고 전했다.

김보현 기자
bh@newsmin.co.kr